![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11/1477552_20211124133855_461_0001.jpg)
자동차 전장업체 카네비컴이 국책과제를 통해 1550㎚ 라이다 광원을 개발한다.
카네비컴은 중소벤처기업부 국책과제 '자율이동체용 다목적 모듈형 시각안전 1550㎚ 라이다 광원 개발'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카네비컴은 905㎚ 라이다 개발·양산 성공에 이어 1550㎚ 라이다 광원 기술 개발을 본격화한다.
카네비컴은 지난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이전받은 기술로 시각안전파장 기반 장거리 탐지용 라이다 MOPA(Master Oscillator Power Amplifier) 광원 모듈 기술을 개발한다. 최종적으로 1550㎚ 파장 대역의 장거리 라이다를 개발·생산할 계획이다.
1550㎚ MOPA 기술은 차세대 초장거리 고분해능 라이다센서 핵심 기술이다. 905㎚ 파장 기반 라이다 대비 높은 광 출력에도 시각에 안전하다는 게 특징이다.
1550㎚ 라이다의 경우에는 원가가 높다는 게 최대 단점이다. 제조원가를 낮추는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
카네비컴은 자율주행차 이외에도 자율주행 선박 등을 위한 해양용 장거리 탐지·인식 분야, 지능형 경계 체계, 무인 전투 로봇 등 국방 첨단 센서 분야에 라이다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정종택 카네비컴 대표는 “기술 개발을 위해 ETRI와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라며 “라이다 센서 전문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센서 분야의 선두가 되겠다”고 말했다.
박진형기자 j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