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민관 합동으로 16일부터 다음 달 10일까지 가을철 농촌지역 경작지에 방치된 영농폐기물을 집중적으로 수거한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영농폐기물 집중 수거기간을 앞둔 15일 한국환경공단, 새마을운동중앙회,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 간 '영농폐기물 수거지원 협약'을 서면으로 체결했다. 수거 취약지역의 영농폐기물 수거를 지원하고 지역농민에게 영농폐기물의 올바른 배출 방법을 안내할 예정이다.
이번 집중 수거기간에는 한국환경공단 지역본부 7곳과 지사 2곳에 상황실을 운영해 영농폐기물 수거 현황을 지속 점검한다. 영농폐기물 공동집하장을 거쳐 전국 36곳 수거사업소로 반입되는 폐기물 현황을 파악하고, 민간위탁수거사업자와 지자체를 지원한다. 영농폐기물 수거 실적이 우수한 지자체와 새마을운동중앙회 지회에 총 1000여만원 상당 상금도 지급한다.
환경부는 이물질이 많고 수익성이 낮아 민간에서 재활용을 기피하는 영농폐비닐을 처리하기 위해 '영농폐비닐 재활용처리시설 설치·개선' 사업을 추진한다. 봉화 재활용처리시설의 건식설비 습식(세척설비) 전환 공정개선 사업은 내년 준공된다. 충청권 재활용처리시설은 내년부터 2024년까지 신설한다.
또 농촌 인구의 고령화와 장거리 수거·운반에 따른 불편을 해소해 농민들이 영농폐기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마을 단위의 1차 수거거점인 '공동집하장 확충사업'을 2014년부터 추진한다. 지난달까지 전국적으로 총 9011곳 공동집하장이 설치됐으며, 2025년까지 공동집하장을 1만3000곳으로 확대해 영농폐기물의 안정적인 수거 기반을 마련한다. 영농폐비닐의 수거율을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해 수거보상금 지급물량을 올해 20만4100톤에서 내년 21만6500톤으로 늘린다.
홍동곤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집중 수거기간 동안 영농단체와 협력해 영농폐기물의 수거율을 높이겠다”면서 “제3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에 맞춰 지자체별 계획을 수립하여 영농폐기물을 집중 수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준희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