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반도체 수급난 2023년 이후까지 지속...중장기 대책 필요"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자동차 반도체 수급난이 2023년 이후까지 이어질 수 있어 중장기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자동차 업계와 반도체 업계가 전략적으로 협업하고 정부도 전폭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이하 한자연)은 8일 '자동차 반도체 수급난 현황 진단과 향후 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조민욱 한자연 연구전략본부 선임연구원은 “기업별 전망에 차이는 있으나 2022년 상반기에서 2023년 이후까지 공급난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중·장기적으로 국내 산업 생태계 역량을 바탕으로 차량용 반도체 수요 증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세계 각국 완성차 업체들은 2020년 말부터 시작한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으로 인해 생산차질을 이어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오토포케스트에 따르면 올해 세계 자동차 생산차질 규모는 1015만대 수준으로 추산된다.

현대차·기아는 올해 3분기까지 459만4000대를 생산하며 글로벌 완성차 업체 대비 준수한 실적을 거뒀다. 2019년 같은 기간 대비 14% 줄어든 생산규모지만 전년 대비 7.1% 증가한 실적이다.

한자연은 국내 자동차 업계가 글로벌 반도체 공급기업으로부터 물량 확보 노력을 지속하고, 정부가 신속통관·출장 시 자가격리면제 신속심사 등을 통해 지원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다만 자동차 반도체 수요가 점차 늘고 있어 중장기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자동차 반도체 수요는 2021년 기준 1325억개에서 2027년 2083억개로 연평균 8%씩 증가할 전망이다.

조 연구원은 “완성차와 1차 협력 부품사 등 수요기업은 차량용 반도체에 대한 장기적 계획을 국내 공급기업과 공유하는 등 주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반도체 기업은 단기 수익보다 시장 잠재력을 고려해 자동차 업계와 연대·협력을 통한 개발·투자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정부의 관심·역할도 요구된다”고 말했다.


박진형기자 j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