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11/1469383_20211101132059_134_0001.jpg)
개발도상국 친환경차 보급을 위해 민관이 국제적 협력 개발(ODA)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개도국 인프라 확대를 지원해 친환경차 수요를 늘릴 경우 국내 완성차 업계 수혜도 예상된다.
이지형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원은 1일 '개도국 친환경차 보급을 위한 과제 및 시사' 보고서를 통해 “고가의 차량 가격과 인프라 부족 문제가 개도국 친환경차 확산의 걸림돌”이라며 “민관이 협력해 중장기 ODA 사업을 기획하고 중고 친환경차 수출도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글로벌 누적 전기차 판매는 1000만대를 돌파했다. 미국, 캐나다, 유럽, 한국, 중국, 일본 등 주요 12개국의 판매 비중이 94%에 달한다. 보급 물량 대부분이 선진국 중심으로 개도국 보급률은 미미하다.
개도국은 친환경차 보급 촉진을 위해 인센티브와 보급목표를 잇달아 제시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전기차 생산공장을 건설하고 있는 인도네시아는 2025년까지 자동차 생산량의 20%를 전기차, 하이브리드차로 채울 예정이다. 말레이시아, 태국, 멕시코, 카타르 등도 관련 정책을 내놨다.
하지만 친환경차의 높은 가격과 인프라 설비 부족이 보급 장애 요소다. 이 연구원은 “2030년부터 전기차가 내연기관차보다 저렴해진다는 전망도 있지만, 현재 개도국이 목표한 친환경차 보급을 위해선 지금부터 적극적 전환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개도국 친환경차 수요를 늘리려면 부족한 인프라 문제 해결이 관건이다. 민관이 적극 협력해 ODA 사업을 기획하고 재정, 기술, 정책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이유다. 한자연은 인도네시아의 경우 2020년 배터리 충전소 180곳을 구축하려고 했지만 27곳에 그치는 등 개도국의 인프라 확충 속도가 더디다고 소개했다.
단기적 관점에서 중고 친환경차 수출도 고려해야 한다. 소득수준을 고려할 때 가격 부담을 낮은 중고차로 사용 경험을 제공하는 방안도 중요하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자연은 중고 친환경차 수출 활성화를 위해 품질과 안전성 등에 대한 인증을 강화해 양질의 차량을 엄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연구원은 “개도국의 친환경차 확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협력 강화와 현지 수요기반 차별화 전략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진형기자 j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