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학생 10명 중 5명 이상은 최근 한 달 동안 디지털 교과서를 외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1개월 동안 디지털 교과서를 한 번도 이용하지 않은 학생이 절반을 넘은 것이다.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이달 5일부터 11일까지 전국 교원, 학생 학부모 등 2만355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참가 학생 5744명 가운데 약 54%가 '전혀 없음'이라고 답했다고 밝혔다.
온라인 학습지원 서비스 접속 횟수 질문에도 약 38%가 '전혀 없음'이라고 대답했다. 선생님 10명 중 4명도 최근 한 달간 디지털 교과서 수업을 하지 않았다. 지역교육청의 교육정보화 서비스에 접속한 횟수를 물어보는 질문에서 전체 학생 응답자의 약 64%가 한 번도 접속해 본 적이 없다고 밝혔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이 디지털 교과서를 비롯해 다양한 에듀테크 서비스를 현장에 제공하지만, 활용도와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지원 서비스, 시도교육청의 교육정보화 서비스 등은 민간보다 콘텐츠 다양성이나 사용성 측면에서 만족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이용이 저조했다. 교사는 양방향 수업을 위해 줌이나 구글미트, 네이버 웨일 등을 주로 이용하고, 수업 콘텐츠로는 유튜브나 교사 자체 제작 자료 등을 주로 이용했다.
교육부와 교육청 교육 정보화서비스가 개별 운영되면서 시너지 효과가 없고 통합 플랫폼을 고려했을 때 예산 낭비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원격학습, 스마트학습 지원이 늘었지만, 관련 디지털 인프라나 연계 등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디지털 교과서 이용도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면서 전면적인 정책 전환 목소리가 높아질 전망이다. 교육 수요자인 학생, 교원, 학부모를 위한 에듀테크 환경 점검과 미래 교육 로드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에듀테크 기반 학습을 직접 경험하는 학생의 경우 최근 1개월 동안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해 학습한 횟수를 물어보는 질문에 절반이 넘는 54%가 전혀 없다고 대답했다. 실제로 최근 1개월 동안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해 수업한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교원 역시 전체의 39%로 나타났다. 그 원인으로는 '대체할 콘텐츠 존재(26%)' '교과서랑 별반 차이가 없기 때문(23%)', '부족한 디지털 학습환경(17%)' 등을 꼽았다.
정부가 웹 버전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개선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스마트기기 보급 상황이나 관련 인프라도 아직 미흡하다. 초등학교 한 곳당 컴퓨터학습실은 1~2곳뿐이고, 14세 미만은 웹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이용할 경우 가입 시 보호자 동의가 필요하다. 조기성 스마트교육학회장(계성초 교사)은 “디지털 교과서 초기에 부정적 기억으로 더는 이용 안 하거나 디지털 인프라가 부재해 이용이 어려운 사례도 많다”라고 현장 목소리를 전했다.
내년부터 초등 교과서가 검정체제로 전환된다. 디지털 교과서 종류와 기능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지만, 여전히 서책형 중심으로 가격 및 저작권 등이 설정돼 개발에 한계가 있다.
시도교육청의 교육정보화 서비스 이용률은 더욱 심각하다. 1개월 동안 교육청 교육정보화 서비스에 접속한 횟수를 물어보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약 64%가 '전혀 없음'이라고 대답했다. 교육청 교육정보화 서비스는 서울과 인천이 5곳, 대구 3곳이 있으며 사이트마다 제공되는 콘텐츠가 다르다. 학교급에 따라 정보가 편중돼 있고, 학생, 교원 이용이 저조해 실효성 문제가 제기됐다.
학부모는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 만족도 조사에서 대체로 유보적(보통이다)이거나 부정적 답변이 높게 나타났다. 학부모들은 스마트기기가 학습에 방해가 된다고 보며, 학생 나이가 어릴수록 디지털 기기 중독 우려가 있어 스마트기기 활용 교육에 부정적 입장을 취했다.
비대면 학습의 급격한 증가로 디지털 기기 사용이 학생과 교원, 학부모 간 갈등 요인이 될 수 있는 만큼 디지털 기기 활용 교육에 대한 교육당국 정책 소통 노력이 요구된다. 조 학회장은 “정부에서 '모델학교' 등을 만들어 미래교육을 로드맵 차원으로 제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강득구 의원실은 “학생, 학부모, 교원들은 디지털 콘텐츠, 온라인 학습지원 서비스, 정보화 서비스 등 학교 현장의 에듀테크가 중구난방으로 안내되고 생성되고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장기적 관점에서 다양한 분야의 에듀테크 서비스를 일관성 있게 끌고 갈 수 있는 기관과 통합 플랫폼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2023년부터 'K-에듀 통합플랫폼'을 서비스한다. 약 3000억원 예산이 소요되는 사업으로 교사, 학생이 민·관 교육자료부터 수업을 지원하는 각종 에듀테크 서비스를 한 번에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강득구 의원은 “에듀테크 기반 서비스는 미래교육을 위한 중요한 화두”라며 “공급자에서 수요자 중심 서비스로 바꿔나가고 통합 플랫폼 서비스가 미래교육 중심축이 될 수 있도록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