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만권 세풍산업단지가 이차전지 등 신산업 전진기지로 조성된다. 선월하이파크단지는 정주여건 개선 및 도시 안전망을 강화하고 두우레저단지는 체류형 복합 관광·레저단지로 조성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09/1454916_20210915122117_584_0001.jpg)
정부는 제125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를 개최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세풍산업단지 개발계획 변경 등 3건의 안건을 서면으로 심의·의결했다.
정부는 광양만권 세풍산단이 여수국가산단에서 율촌1산단으로 이어지는 화학소재산업과 연계해 이차전지 등 기능성 소재산업 혁신생태계로 발전하도록 경제자유구역개발계획 변경을 승인했다.
이차전지 양극재 생산 앵커기업이 입주한 율촌1산단은 분양이 완료됐으며, 향후 입주수요가 인근 세풍산단으로 이동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차전지 관련 중견·중소기업 유치를 위해 중점유치산업으로 전기장비제조업종을 추가했다.
현재 입주 중인 융복합소재지원센터(KTR)의 기능을 확대해 혁신 소재기업 대상으로 사업화 핵심기술개발(R&D), 시험분석, 특허출원·등록 및 인증획득 등 질 높은 기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입주기업 편의를 제고해 세풍산단이 조기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비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번 개발계획 변경으로 세풍산단은 광양만권이 기존 범용 화학소재 중심지에서 고부가가치 이차전지·기능성 화학소재 핵심권역으로 전환되는 전진기지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광양만권 선월하이파크단지는 율촌산단, 세풍산단 등 개발·입주에 따른 새로운 정주수요(계획인구 14만명)를 반영해 효과적인 주거 배후단지 조성이 이뤄지도록 개발계획 변경을 승인했다. 두우레저단지는 변화하는 관광 추세에 맞춘 체류형 복합관광·레저파크, 테마빌리지 조성과 하동지구 개발에 따른 정주여건 마련을 위해 개발계획 변경을 승인했다.
안성일 산업부 경제자유구역기획단장은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에는 700여 개의기업이 입주해 연 매출 약 8조원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데, 이번 개발계획 변경으로 글로벌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이차전지 산업의 주요 생산기지로 부상해 지역발전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