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재난방송 사각지대 최소화' 종합계획 추진

Photo Image
방통위 재난방송 강화 종합계획 주요 내용

방송통신위원회가 재난방송 사각지대 최소화를 목표로 '재난방송 강화 종합계획'을 추진한다.

방통위는 31일 모든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재난정보를 전달받도록 재난방송체계를 정비한 종합계획을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재난방송 주관방송사 KBS가 재난정보를 24시간 신속·정확하게 전달하도록 지상파다채널방송(MMS)을 통한 '재난전문채널'을 신설한다. 재난방송 정보 핵심플랫폼 역할을 할 '재난방송 종합정보센터'를 구축, 모든 방송사가 보다 심층적 재난방송을 제공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국지적 재난 발생시 현장 중심 재난방송이 활성화되도록 지역방송사와 지방자치단체간 협력을 강화한다. 방송사 취재인력이 닿지 않는 전국 곳곳 재난정보 전달을 위해 이장·통장·방송사 교통통신원 등 1만명 규모 '시민안전통신원'을 선정할 계획이다.

전체 시청각 장애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TV 보급과 재난 필수매체 휴대용 라디오 보유 장려를 위한 '1가구 1대 갖기' 캠페인 전개, 재난취약계층 대상 휴대용 라디오 보급도 추진한다.

수어 재난방송 의무를 KBS 이외 다른 지상파 방송, 종합편성채널과 보도전문채널에도 부여한다. 지상파UHD 방송망을 활용한 이동형 서비스와 옥외전광판을 통한 재난경보방송을 상용화한다. 공동체라디오가 동네단위 지역밀착형 재난방송을 담당한다.

또 '재난방송 실시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가칭)' 제정 등 관련 법체계를 정비하고 방통위에 재난방송을 24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재난방송 종합상황실'을 구축, 재난방송 컨트롤타워 역할을 강화한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국민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한 재난방송이 정확·신속하게 심층 내용으로 모든 국민에게 언제 어디서나 전달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