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데이터 개방화 지수 측정 지표 만든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

정부가 의료기관 보건의료 데이터 개방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보건의료 데이터 개방화 지수 측정 지표'를 만든다. 헬스케어 빅데이터 활용 기반을 강화하고 의료기관에 데이터 개방에 따른 공정한 보상을 제공하는 기반이 갖춰질 전망이다.

16일 의료계에 따르면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헬스케어 빅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한 기반 강화 연구'를 통해 보건의료 분야 데이터 개방화 지수 측정 지표 도입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 대한의료정보학회와 함께 검증하고 있다.

보건의료데이터 개방화 지수 측정 지표는 보건의료 데이터 보유기관에서 데이터 개방 시, 양적·질적 측면에서 개방 우수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 실태 평가, OECD 공공데이터개방지수, 월드와이드웹파운데이션 공공데이터평가(ODB) 등 다양한 데이터 개방화 지표체계 선행사례를 참고해 개방화 지수 측정 지표 후보군을 도출했다. 후보군은 △데이터 양·질적 특성 △데이터 개방 방식 △데이터 개방 환경 등 3개 영역에서 9개 상위 지표와 27개 하위 지표로 구성됐다.

모델 검증을 위해 국내 주요 병원 최고정보책임자(CIO) 대상 전문가 웨비나를 진행했으며, 상급종합병원과 주요 1·2차 병원 관계자 대상 비대면 집단심층면접(FGI)을 통해 검증 결과를 보완할 계획이다.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의료계와 산업계 의견을 듣기 위한 토론회 개최도 준비하고 있다.

개방화 지수 측정 지표 도입은 헬스케어 빅데이터 수요 확대에 대응해 복지부가 도입을 준비 중인 '보건의료 데이터 공유제' 일환이다. 보건의료 데이터 공유제는 국가재정이 투입된 R&D 과제 등에서 수집, 생산되는 보건의료 데이터를 사업 종료 후 개방·공유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다. 이를 위해 내년까지 개방 대상이 될 데이터셋, 공개 범위, 기준을 우선 마련하고 2023년부터는 질환별로 표준화된 최소 단위 공통 데이터셋(MCD) 기반으로 데이터 공유를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보건의료데이터 개방화 지수 평가체계가 마련되면 데이터 개방기관에 대한 정부의 보상 제공 시 근거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의료기관에서는 데이터 공개에 따른 인센티브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양질의 데이터를 생산하고 가공해 개방하려면 인프라와 전문인력 등 투자가 필요한 반면, 현재는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이 분명치 않은 만큼 인센티브와 연동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병원 최고정보책임자(CIO)로 구성된 의료정보리더스포럼 의장을 맡고 있는 김경환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의료기관과 의료진은 보건의료 데이터 생산 과정의 참여자로 데이터 소유자가 아니라는 점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양질의 보건의료 데이터 생산과 개방을 위해 병원, 정부, 학계가 함께 노력해야하며 궁극적으로 임상현장에서 생산된 데이터가 어떻게 가공되고 어떻게 활용되는지 제대로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현정기자 ia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