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픽 폭주 대처...내년 구축 추진
"민관 상시 네트워크 협력 체계 목표"
정부가 백신 예약 시스템 먹통 사건 등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대민 서비스의 안정적 가동을 위한 '위기대응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을 추진한다. 위기 시 신속하게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 대응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최근 '민관협력 위기대응 클라우드 기반구축 정보화전략(ISP)' 사업을 마무리하고 내년도 예산 반영을 준비한다고 8일 밝혔다. 예산 반영이 확정되면 내년에 플랫폼을 구축한다.
지난해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후 공적마스크 애플리케이션(앱), 전자출입명부 등 신속한 정보기술(IT) 시스템 도입이 중요해졌다. 기존 시스템(온프레미스)으로는 대국민 동시접속에 따른 트래픽 폭주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탄력적으로 시스템 확장이 가능한 클라우드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위기대응 클라우드 플랫폼은 최근 발생한 백신 예약 시스템 '먹통' 사건처럼 비상시 신속하게 자원을 투입, 대응할 수 있는 상시 시스템이다.
플랫폼은 민간 클라우드와 협력해 백신 예약 시스템 등 응용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인프라, 서비스, 프레임워크 등 IT 자원을 클라우드로 제공한다. 별도의 물리적 환경 구축 없이 위기대응 서비스를 쉽고 제공하고, 빠르면 수분 내 개발·실행·운영·관리하는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이다. 위기 때만 사용량에 따라 클라우드 비용이 추가되기 때문에 컴퓨팅 자원 낭비를 줄이고 예산 효율성을 높인다.
플랫폼은 평상시 시민안전과 사회현안 해결 역할을 담당한다. NIA 관계자는 “평상시 시빅해커나 기업이 함께 산불대응 서비스, 우리동네 안전지도 서비스 등 사회 현안 해결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국가 위기 시 위기대응 공간으로 전면 전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위기 때만 민간과 협업하는 것에서 벗어나 상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민·관 협력 모델을 만들면서 위기 시 즉시 활용하는 체계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위기대응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과 함께 민·관 협력 위기대응 시범사업도 준비한다. 민·관이 함께 재난안전, 사회현안 등 위기대응 서비스를 발굴·개선하는 사업이다. 추후 유사한 재난 상황 발생 시 대응 속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은 과거 도호쿠 대지진 이후 긴급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평상시 위기 대응 네트워크, IT 자산을 비축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나연묵 한국정보과학회장(단국대 교수)은 “백신 예약 시스템 먹통 사건에서 확인했듯 비상시 클라우드 역량이 중요하지만 아직 공공은 대비하지 못한 곳이 많다”면서 “위기대응 플랫폼은 비상시 빠르게 클라우드 시스템을 확보하고 평상시 구축한 네트워크를 활용해 안정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도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