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통신·건설 뭉쳐 세계 '스마트홈' 시장서 경쟁력 키워야"

제1회 '비욘드홈테크포럼' 좌담회
최고 기술 갖췄지만 각자도생
글로벌 IT기업에 주도권 내줘
이종산업 융합·협업체계 필요

Photo Image
전자신문사가 주최한 제1회 비욘드홈테크포럼 전문가 좌담회가 지난달 30일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홍기범 전자신문 부장, 김동현 코웨이 상무, 정석진 산업통상자원부 과장, 김명석 삼성물산 상무, 양성현 광운대 교수, 박찬우 삼성전자 상무, 이동길 대우건설 팀장, 김건우 LG전자 상무, 이홍철 KT 상무, 곽재근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실장.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스마트홈'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이종산업 간 융합과 협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구글, 아마존 등 세계적 정보기술(IT) 기업이 플랫폼 전략을 강화하고 있지만 국내는 가전·통신사 주도의 제한적 서비스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세계 최고 수준의 IT 역량과 수용성을 바탕으로 가전과 통신, 건설을 아우르는 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전자신문은 '비욘드홈테크포럼'을 발족하고 국내 스마트홈 산업 발전을 위한 전문가 좌담회를 개최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스마트홈 기술이 세계 수준에 이르렀지만 서비스 개발까지 이어지지 못해 주도권을 글로벌 기업에 내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비욘드홈테크포럼은 연결성에 초점을 맞춘 기존 스마트홈을 넘어 플랫폼을 활용한 서비스 영역까지 확장하는 '비욘드홈' 시대를 겨냥, 발족했다. 가전, 통신, 건설, 협·단체, 정부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모두 모여 산업 발전에 머리를 맞댔다.

전문가들은 국내 스마트홈 시장이 제자리걸음인 이유로 서비스 파편화를 꼽았다. 가전, 통신 등 주요 업체가 자사 제품과 플랫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다 보니 연결성이 핵심인 스마트홈 영역에서 사용자 경험을 높일 수 없기 때문이다. 김건우 LG전자 상무는 “가전업체는 물론 홈네트워크 업체, 건설사 등이 여러 서비스를 제안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고객 가치 측면에서 수용성은 낮다”면서 “기술적으로 준비는 완료됐다. 그러나 이와 별개로 고객 입장에서는 반드시 써야 하는 수준의 서비스는 부족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구글, 아마존, 애플 등은 폭넓은 가전 연동 환경을 바탕으로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를 킬러 콘텐츠로 삼고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AI) 스피커에 '휴식모드'를 말하면 커튼, 조명, 환기, 음악 등 사전에 입력된 기능이 자동으로 작동한다. 반면에 국내는 스마트홈 플랫폼이 대형 가전사 중심으로 운영돼 상호 연동이 어렵다. 가전·통신은 물론 건설사까지 독자 스마트홈 플랫폼을 출시하고 연동되는 가전 수 확대에만 초점을 맞춘다. 이미 서비스 비즈니스로 진화한 글로벌 IT 기업과는 격차가 벌어질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아파트 공급으로 주택 보급이 이뤄지는 특성을 고려해 가전·통신·건설사가 통합 생태계를 구축, 자체 플랫폼 경쟁을 넘어 사용자에 맞춘 서비스 개발 경쟁으로 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홈 사물인터넷(IoT) 표준 등을 채택, 기기-플랫폼 간 연동 환경을 마련하고 에너지·헬스케어·라이프스타일 등 맞춤형 서비스 개발 시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양성현 광운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스마트홈 서비스의 경쟁력은 다양한 기기의 연동과 사용 시나리오”라면서 “자사 중심의 플랫폼 경쟁을 넘어 헬스케어, 에너지, 유통 등 이종산업과 연계한 킬러 콘텐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찬우 삼성전자 상무는 “스마트홈이 긴 역사에 비해 성장이 느리다. 확산을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인센티브 활성화가 필요하다”면서 “IoT 가전과 서비스로 에너지 등 공공 이익에 도움이 될 경우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스마트홈 시장은 코로나19와 맞물려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구글, 아마존, 애플 등 글로벌 IT기업은 수백만 개에 이르는 가전 연동 생태계를 조성, 차별화한 서비스로 시장을 장악했다.

Photo Image
매터 현황

우리나라는 세계 가전시장을 선도하고 있지만 스마트홈 플랫폼 경쟁에서는 이들에 뒤졌다. 삼성전자가 스마트홈 플랫폼 '스마트싱스'로 글로벌 가입자 2억명, 연동 기기 2600여개를 확보했지만 구글·아마존 등에는 밀린다.


정용철기자 jungy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