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06/1424216_20210616141132_182_0001.jpg)
글로벌 백신 허브화를 위해 재정지원과 관련 조직 신설, 인력 양성, 원재료 자급화, 제도 개선 등 혁신 생태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강대희 서울대 교수는 16일 여의도 마리나컨벤션센터에서 보건복지부와 더불어민주당 백신치료제특별위원회,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관으로 열린 '헬스케어 미래 포럼' 기조강연에서 “글로벌 백신 허브화를 위해 재정지원과 관련 조직 신설, 제도개선과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구체적인 방안으로 총리실에 국무조정실 수준의 바이오헬스실을 신설하고 국가 백신 최고 책임자(CVO) 임명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신기술 보건의료기기 심의를 단순화·전문화하고 규제에서 증진으로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날 포럼은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국과 미국 정부간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구축에 합의하고, 미국의 백신 기술 및 원부자재 공급능력과 한국의 백신 생산역량을 결합해 전 세계에 백신을 생산·공급하기로 함에 따른 국내 대응방안에 대한 논의 장으로 마련됐다.
주제발표를 맡은 오동욱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회장(한국화이자제약 대표)은 “코로나19로 인해 혁신의 가치가 재환기되고 협업을 도모하는 파트너십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며 “바이오헬스 산업의 글로벌 도약을 위해 혁신 생태계 조성, 혁신성장, 협력 마인드의 선순환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홍기종 건국대 교수는 백신 글로벌 허브화 전략으로 △생산력 증대 및 효율화 △원재료·장비 자급화 △개발 인프라 전주기화 △백신전문인력 양성을 제안했다.
이어진 정책토론에서는 성백린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단장(연세대 교수)을 좌장으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등 제약산업계와,국가신약개발사업단,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보건의료전문가, 보건의료전문기자 등이 참여해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에 대응하는 바이오헬스 산업의 과제 △우리 백신산업의 강점과 약점 △첨단 백신 기술 개발전략 △글로벌 백신 허브화 전략과 과제 등 쟁점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강도태 보건복지부 2차관은 “글로벌 백신 허브화를 위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추진전략 수립이 중요하다”며 “포럼에서 제시된 여러 의견을 정책 수립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전혜숙 더불어민주당 백신치료제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축사에서 “백신 원부자재 확보, 신기술 백신의 개발과 생산능력의 확충, 전문인력 양성 등 도전적인 과제들을 냉철한 분석을 바탕으로 해결해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보건복지부는 바이오헬스 주요 이슈와 정부의 정책에 대해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방향성 설정을 위하여 산업계, 학계,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주제발표와 토론을 진행하는 '헬스케어 미래포럼'을 2019년 4월부터 개최하고 있다.
정현정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