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추진돼 온 수소산업 육성 정책이 관련 생태계 구축으로 탄력을 받고 있다.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올해에만 지난해보다 52.9% 늘어난 1257억원을 수소 및 연료전지에 투자하는 등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정부가 수소 산업 육성의 마중물 역할을 맡은 사이 국내 굴지의 기업들은 발 빠르게 동참하며 파이를 키웠다. 수소 산업은 생산에서 유통, 소비에 이르기까지 밸류체인 구축이 뒷받침돼야 한다. 또 이 과정에서 천문학적 비용을 조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자금 동원력과 기술력 등 역량 있는 SK와 현대차, 효성, 포스코, 두산, 현대중공업 등 주요 그룹들이 나섰다.
대표적으로 SK는 앞으로 5년 동안 수소 사업에 약 18조원을 투자한다. 액화수소 생산기지를 건설하고 생산된 부생수소를 가공, 수도권에 공급한다. 오는 2025년까지 전국에 수소충전소 100기를 설치한다. 현대차그룹 역시 현대제철, 현대글로비스, 하이넷 등을 통해 수소 생산·운송·공급 등 밸류체인을 집중 육성한다. 같은 수소 산업 육성 정책을 펼치고 있는 유럽 등과는 비교 자체가 어려운 속도전과 추진력이다.
10일 국내 수소 산업은 다시 한번 재도약의 계기를 맞았다. 현대차와 SK, 포스코, 효성 등 4개 그룹 회장들이 민간 주도의 '한국판 수소위원회' 설립을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기 때문이다. 그동안 재계는 업체별로 수소 전략을 추진해 왔지만 앞으로 함께 수소산업 밸류체인을 육성키로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수소 생산부터 최종 수단인 수소차에 이르기까지 밸류체인 전반을 포괄하는 그룹이 힘을 합쳤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정부가 끌고 온 수소 정책에 재계의 노력이 더해져 산업 생태계가 완성돼 가고 있는 셈이다.
수소경제는 어느 한 주체의 노력만으로는 이뤄 낼 수 없는 과업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책과 제도가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 정부는 중장기 정책에 힘을 보태는 산업계가 어떤 어려움을 안고 있는지 지속해서 확인하고 지원해야 한다. 수소 관련 투자에 들어가는 세액을 감면하는 방법 등도 검토해야 한다. 조금만 더 집중하면 수소 강국 대한민국 건설이 멀지 않을 것이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