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에너지 분야 시스템 전반 혁신이 필요하다고 국내외 전문가가 입을 모았다. 차세대 배터리, 이산화탄소포집·저장(CCS)과 같은 첨단기술을 글로벌 에너지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는 지적도 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1 P4G 서울 정상회의' 2일차인 31일 에너지 세션을 개최했다. 에너지 세션에서 '혁신적인 에너지 솔루션으로 더 푸르른 지구'라는 주제로 전 세계 정부와 기업, 국제기구 전문가들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혁신 에너지 솔루션을 공유하고, 청정에너지 전환을 위한 국제사회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구체적으로 △탄소중립 시대 기업의 혁신과 전환 △제도와 인프라 혁신 △개도국의 청정에너지 중심 성장을 위한 선진국과 국제사회의 협력 등에 대해 의견을 공유했다.
문승욱 장관은 개회사에서 “에너지가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에너지 분야 시스템 전반에 걸친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전력망 인프라 확충, 섹터 커플링 구현, 그린 수소 상용화 투자 확대 등 난제 극복이 필요하며, 동시에 저탄소 에너지 시스템 구현을 위한 제도와 인프라를 혁신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 장관은 “선진국과 개도국이 함께 탄소중립으로 나아가기 위한 혁신 솔루션을 찾아야 하며, 개도국이 청정에너지를 중심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술협력, 투자 확대, 금융지원 등 선진국과 국제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파티 비롤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도 기조연설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시스템의 전면 혁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IEA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로드맵을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태양광, 풍력, 전기차 등 기존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차세대 배터리, CCS와 같은 첨단기술을 글로벌 에너지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김동관 한화솔루션 대표는 “기후변화에 맞서 보다 스마트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산 기술을 개발하고 가시적 성과를 이뤄내기 위한 혁신을 추진해오고 있다”고 언급했다.
김 대표가 예를 든 것은 가스터빈에서 수소를 활용하는 H2GT, 빅데이터·인공지능(AI)을 활용한 에너지 관리 소프트웨어 등 탄소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는 “친환경 에너지기술을 산림조성에도 적용해 세계에 약 50여만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라며 “인류의 가장 중대한 도전인 '기후변화'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의 협업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조연설에 이어 P4G 허브세션에서는 '에너지 시스템의 탈탈소화를 위한 혁신적 투자 촉진 모델과 P4G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마지막 패널토론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 시스템 대전환 전략'을 주제로 열렸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