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라인]립스틱 디지털과 '베테랑'

Photo Image
ⓒ게티이미지

국내 금융시장이 디지털 생태계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지점을 방문하거나 사람을 만나지 않고 금융업무를 비대면으로 해결한다. 현금보다는 모바일 간편결제를 선호하는 시대가 왔다.

변화 속도가 너무나 빠르다. 빅테크라는 신조어도 탄생시켰다.

시장을 독점해 온 전통 금융사들이 변모하기 시작했다. 평가 절하한 인터넷전문은행이 전통 은행의 고객을 빠르게 유입하고 있다. 송금과 간편결제, 환전, 데이터 사업 등 미래 신수종 사업에 정보기술(IT) 기반 기업들이 전통 금융을 위협하기 시작했다. 주객전도다.

대세가 바뀌는 시점이 왔다는 뜻이다. 상황이 급변하자 대형 은행을 비롯한 제도권 금융사가 IT 인재 영입에 앞다퉈 뛰어들고 있다.

단순한 인력 충원이 아니라 네이버, 카카오, 삼성 등 IT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베테랑을 큰돈 들여 가며 끌어들이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외부 DNA를 내부에 융합하기 위해 별도의 디지털 조직을 신설, 외부 발탁 인물에게 힘을 싣고 있는 형국이다.

비단 전통 금융사뿐만이 아니다. 빅테크와 핀테크 스타트업도 시장 인사이트를 보유한 임원급 IT 전문가를 영입하기 위해 연공서열 파괴에 나섰다.

그동안 금융 보조 역할로 치부돼 온 IT 인력의 사업 근간을 움직이는 핵심 동력 역할 및 기능이 크게 높아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전통 뱅커보다는 빅데이터 전문가, 카드 여신 전문가보다는 소비자가 원하는 사용자환경(UI) 전문가 등을 더 높이 쳐 주는 시대가 왔다.

그러나 이 같은 금융권의 디지털 인재 영입 사례를 분석해 보면 여러 허점도 드러난다.

우선 금융권으로 영입한 디지털 인재가 시장에서 전문성을 갖췄는지, 실제 사업 능력이 있는지 등을 검증할 수 있는 체계가 금융조직 내에 전무한 실정이다. 대부분 최고경영진이 외부에서 이야기를 듣고 영입 지시를 하거나 외부 헤드헌터를 통해 '페이퍼'로 검증하고 있다.

실제 전문가가 아닌 '무늬만 IT 전문가'를 영입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바로 립스틱 디지털 논란이다. 검증되지 않은 IT 인재가 설익은 사업을 추진, 심각한 사업 결과를 초래하곤 한다.

검증되지 않은 디지털 전문가를 통해 사업을 전개, 망신만 당한 사례가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한 사례로 우리은행의 국내 최초 드라이브 스루 환전을 꼽힌다.

비대면으로 자동차 안에서 환전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외부 전문가를 영입해 공개한 첫 사례이기도 하다. 그러나 설익은 수요조사와 소비자 행태 분석 부족, 코로나19 여파가 겹치면서 사업은 유야무야 됐다. 당연히 사업도 해체됐다.

디지털 금융시대, 급변하는 생존경쟁에서 가장 중요한 건 역시 인재다. 디지털의 상징은 비대면이지만 비대면 플랫폼을 어떻게 완벽하게 만들고 차별화할지는 투입된 인력 수준으로 가늠된다.

이제 금융권은 디지털 인재 영입에서 중장기 투자 계획과 제대로 된 검증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베테랑과 디지털 립스틱을 구별할 수 있는 검증 시스템 먼저 구축하자.

잘못된 인재 영입은 오히려 조직에 해가 되고 내부 인력과의 마찰만 더욱 증폭시킬 뿐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