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CJ ENM "프로그램 사용료, 콘텐츠 제작비 33.4% 불과"

Photo Image

CJ ENM은 IPTV 프로그램 사용료 25% 인상이 합리적 제안이라고 밝혔다.

현재 유료방송 플랫폼이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에 콘텐츠 대가 명목으로 지급하는 프로그램 사용료(이하 사용료)가 제작 원가 대비 지나치게 낮다는 판단이다.

CJ ENM은 2019년 기준 프로그램 사용료가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가 투자하는 제작비 대비 33.4%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사용료 비중 IPTV 가장 낮아

CJ ENM은 IPTV가 다른 플랫폼 사업자 대비 지나치게 폭리를 취한다고 지적했다.

CJ ENM은 “IPTV가 유료방송 플랫폼 시장지배적 사업자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낮은 수준의 사용료를 제공한다”며 “IPTV 3사 기본채널 수신료 전체 금액 약 80%가 플랫폼 몫이고 20%만 프로그램 사용료 명목 PP 몫”이라고 비판했다.

2019년 기준 IPTV는 기본채널 수신료 25.4%를 프로그램 사용료로 지급한 반면에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은 각각 55.6%, 32.1%를 지급했다.

음원·웹툰·영화 등 다른 콘텐츠 플랫폼 기업과 비교하면 IPTV가 콘텐츠 기업에 지급하는 몫이 지나치게 적다고 주장했다. 음원 플랫폼이 스트리밍 이용료 약 35%, 웹툰 플랫폼은 매출의 30~50%, 극장은 매출 약 50%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창작자 등에 배분한다고 부연했다.

또 유료방송 플랫폼 프로그램 사용료가 제작 원가 대비 턱없이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2020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공표집에 따르면 일반 PP와 종편은 2019년 프로그램 제작·투자를 위해 2조4749억원을 투입했다. 플랫폼이 지급한 프로그램 사용료 총액은 8279억원이다.

CJ ENM은 “콘텐츠 제작비는 상승하는 데 플랫폼으로부터 받는 사용료는 제작 원가 3분의 1 수준으로 투자비 회수를 위해 광고·협찬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며 “미국은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방송사가 플랫폼으로부터 제작 원가 대부분을 지급 받는다”고 밝혔다.

한편 CJ ENM은 전체 채널을 한 번에 계약하는 '턴키' 방식이 아니라고 분명히 했다. IPTV에 CJ ENM 채널별 성과에 따라 인상률과 인하율을 제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CJ ENM은 “채널 계약 주체가 CJ ENM과 IPTV로 동일하다는 점을 고려해 편의상 동시에 계약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라며 “여러 채널을 동시에 계약할 경우에 비용 할인을 제공하는 등 플랫폼 사업자도 원하는 방식”이라고 덧붙였다.

◇모바일 IPTV는 '사실상 OTT'

IPTV와 모바일 IPTV는 사실상 별개라는 게 CJ ENM 판단이다. IPTV 서비스를 단순히 모바일 환경으로 옮긴 서비스가 아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라고 정의했다.

모바일 IPTV 서비스는 IPTV 가입자에 한해 제공되는 상품이 아닌 별도 가입을 통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별개 서비스라고 지적했다.

CJ ENM은 “IPTV와 모바일 IPTV는 별개 서비스임에도 지금까지 IPTV 프로그램 사용료 계약에 묶여 헐값에 콘텐츠를 제공했다”며 “올해부터 달라진 OTT 위상에 걸맞은 콘텐츠 제값 받기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IPTV와 분리된 별도 계약 협상을 요청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IPTV 3사가 저렴하게 수급한 콘텐츠를 활용, 통신사 결합상품으로 고가요금제 가입을 유도하기 위한 고객 마케팅 수단으로 OTT를 운영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선공급 후계약'은 기형적 관행

CJ ENM과 PP진흥협회는 “PP가 유료방송 사업자에 콘텐츠를 먼저 공급하고 계약을 나중에 맺는 '선공급 후계약' 관행은 기형적인 구조는 우리나라 유료방송 시장에서만 관행적으로 존재한다”고 밝혔다.

현재 선공급 후계약 관행으로 올해 콘텐츠 가격을 연말에 확인할 수 있고 가격협상력이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비판했다. 거래 당사자 간 계약 이후에 거래가 이뤄지는 통상적 상거래와도 동떨어진 '후진적 행태'라고 덧붙였다.

플랫폼에 공급되는 콘텐츠가 통상 방송 시점 1~3년 전부터 투자하는 상황을 고려, 선제적이고 공격적 투자를 위해 '선계약 후공급' 제도가 자리 잡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CJ ENM 관계자는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와 PP는 제작사 등에 콘텐츠 가치를 선지급해 안정적 사업·투자 환경을 조성하는데 유료방송 플랫폼 사업자만 PP에 사후 정산 행위를 지속하고 있다”며 “후진적 관행이 지속되면 대규모 투자로 시장지배력을 키우는 글로벌 OTT에 우수한 콘텐츠를 빼앗기는 등 국내 유료방송 생태계 발전이 저하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