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차 산업이 안정적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차세대 차량용 반도체 산업을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9일 '국내 차량용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현황 및 강화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별 완성차 생산 점유율은 미국 11.7%, 일본 10.5%, 독일 5.5% 등으로 집계됐다. 수출액을 기준으로는 미국 8.1%, 일본 11.9%, 독일 17.0% 순으로 나타났다. 차량용 반도체 매출 기준으로는 미국 31.4%, 일본 22.4%, 독일 17.4%를 각각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자동차 생산 점유율은 4.3%, 수출액은 4.6%다. 이에 반해 차량용 반도체 매출액 세계 점유율은 2.3%에 그쳤다.
보고서는 “앞으로 차량용 반도체 부가가치가 더욱 커질 것”이라면서 “우리가 강점을 지닌 분야를 중심으로 차량용 반도체 산업 기초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높은 진입장벽과 낮은 이윤이 우리나라의 차량용 반도체 해외 의존도를 높였다고 분석했다. 또 국내 반도체 기업 70% 이상이 가전·IT기기용 첨단공정인 것을 감안하면 구형 공정을 주로 활용하는 차량용 반도체를 단기간 증산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준명 무협 수석연구원은 “우리나라는 세계 7위 규모 자동차 산업과 세계 시장 18.4%를 차지하는 반도체 산업을 보유한 국가”라면서 “국내 차량용 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해 공급망을 내재화하고, 안정적 공급망을 구축해 예측할 수 없는 공급부족 사태에 대비하는 투 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