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본 의존도가 높은 '산업용 특수 활성탄소' 자립화에 시동을 걸었다. 일반 소재·부품·장비(소부장)에 이어 차세대 시장인 융·복합 탄소 소부장에서도 본격적인 기술 독립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도 탄소산업기반조성사업' 과제를 공고했다.

사업은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특수 활성탄소' 기술을 확보하는 게 핵심이다. 국내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최장 57개월을 지원한다. 정부 출연금은 230억원 안팎으로 책정됐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기화용제 회수용'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이차전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특수 산업 세정 공정에는 환경 유해성이 높은 휘발성 유기용제가 상용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기화용제를 회수하는 활성탄소섬유 소재 및 관련 시스템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관련 기술이 없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고효율 가스 분리·정제 기술 확보에도 나선다. 그린수소 정책에 따라 수소에너지 관련 산업이 주목받는 가운데 고순도 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국내 업계는 석유화학 등 다양한 공정에서 발생한 혼합가스를 원료로 고농도 수소를 생산하는 PSA(Pressure Swing Adsorption) 공정을 활용 중이다. 하지만 기술력 부족으로 탄소분자체와 PSA 시스템을 전량 해외에서 들여오고 있다.

슈퍼 커패시터(축전기)용 전극소재 개발에도 힘을 쏟는다.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확대에 따라 초고출력·초고용량 커패시터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슈퍼 커패시터 관련 소재 대부분은 일본산이다. 특히 활성탄소는 일본 의존도가 높아 해외 선진 기업과 경쟁하기 어렵다.

고온 배기가스 제거용 탄소 소재 개발도 추진한다. 제철소와 화력발전소 및 폐기물 소각 등에서 대량 배출되는 고온 배기가스 중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활성탄소다. 대부분 수입 중인 활성탄소를 국산화, 가격·품질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산업용 특수 활성탄소는) 대 일본 의존도가 높아 수급 차질 시 국가 주력 산업에 피해가 우려된다”면서 “융·복합 탄소 소재·부품 기술개발 및 신뢰성 평가 기반구축 지원으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전·후방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게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