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결혼 건수가 23년 만에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하며 역대 최소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여파로 결혼을 미루거나 청년인구가 감소하는 것도 요인으로 작용했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혼인신고 기준) 건수는 21만4000건으로 1년 전보다 10.7%(2만6000건)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70년 이래 최소치다. 감소율은 1971년(-18.9%)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두자릿수 감소율은 외환위기 시절인 1997년(-10.6%) 이후 23년 만에 처음이다.
1996년까지만 해도 43만건에 달했던 혼인 건수는 1997년 외환위기를 거치며 30만건대로 떨어진 뒤 2016년 20만건대까지 추락했고, 이제는 10만건대 진입을 코앞에 두고 있다.
인구 1000명 당 혼인 건수를 뜻하는 조혼인율은 4.2건으로 전년 대비 0.5건 줄면서 역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코로나19로 결혼이 연기되거나 취소된 가운데 최근 결혼 주 연령층인 30대 인구가 줄어드는 추세로, 주거나 고용 등 결혼 여건도 어려워졌다“고 분석했다.
특히 남성의 경우 30대 초반, 여성은 20대 후반에 결혼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연령별 혼인율(해당 연령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을 보면 남자는 30대 초반이 47.6건, 여자는 20대 후반이 44.9건으로 가장 높았다.
다만 평균 초혼 연령이 올라가면서 20대 여성의 결혼은 점차 줄어드는 모습이다.
지난해 20대 후반 여성의 결혼 건수는 전년 대비 7000건(9.1%) 감소하면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33.2세로 10년 전보다 1.4세 상승했다. 다만 국제결혼 등 남성 연상 결혼이 감소한 영향으로 남성 초혼 연령은 1990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줄었다.
여성 평균 초혼 연령은 30.8세로 10년 전보다 1.9세 늘면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지난해 이혼은 10만7000건으로 1년 전보다 3.9%(4000건) 감소했다.
연간 이혼 건수가 감소한 것은 2017년 이후 3년 만이다.
인구 1000명 당 이혼 건수를 뜻하는 조이혼율도 2.1건으로 전년보다 0.1건 감소했다. 코로나로 외출을 자제한다거나 법원 휴정이 권고되는 등의 이유로 이혼 신청 처리 절차가 길어지며 (이혼) 감소한 영향이다.
다만 혼인 지속 기간이 20년 이상 이혼은 1년 전보다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수로는 20년 이상 이혼이 3만9700건으로 전체의 37.2%에 달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유재희기자 ryu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