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직무대행 정문경)은 박기태 노후인프라센터 박사팀이 이달부터 'DNA 기반 노후 교량 구조물 스마트 유지관리 플랫폼 및 활용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이는 디지털 뉴딜사업 내 데이터 구축·개방·활용 분야 중점과제로 진행된다.

현재 1960~1980년대에 건설된 노후 교량이 급증하고 있어 유지관리 비용의 가파른 증가가 예상된다. 노후 교량구조물을 선제 관리하려면 교량 데이터 축적이 필요하다. 이를 이용해 시설물 노후도를 평가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Photo Image
건설연 개발 목표 시스템 개념도

연구팀은 2018년부터 '노후 인프라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중장기 데이터 기반 표준 플랫폼 기술 개발' 연구를 진행했다. 환경조건(동결융해, 염분도, 제설제 사용량 등) 및 지역조건(대형 교통량 유발 지역 등)을 고려해 우리나라를 총 108개 영역으로 구분했다. 영역별 대표 교량구조물을 선정하고 이 중 고양시 대화교 등 3개 교량에 대해 시범적으로 거동상태, 환경변화, 교통량 등 장기 이력 빅데이터를 구축했다. 미래 예측에 기반을 둔 노후도평가 알고리즘을 개발했고 해당 지역 유사 유형 인프라 시설물 노후도를 예측했다.

이런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부터 2023년까지 3년간 스마트 유지관리 플랫폼 개발을 추진하게 된다. 대상 교량 범위 확대, 노후도 평가 결과 신뢰도 향상 및 관리주체에게 노후 교량구조물 유지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Photo Image
노후교량 유지관리 플랫폼 화면

이를 위해 5백만 건 이상 교량 노후화 관련 데이터를 구축하고 노후화된 교량 구조물 유지관리 기술 고도화를 추진한다. 특히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교량 노후도 평가 요소기술 신뢰도를 확보하는 핵심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 사용자 유형별로 교량구조물 유지관리 필요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기술 개발도 함께 진행한다. 이는 대규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역할을 할 전망이다.


박기태 노후인프라센터장은 “플랫폼 시스템을 통해 빅데이터가 지속적으로 누적될 뿐만 아니라, 상호 보완되는 과정을 거치며 노후도 평가 수준 및 유지관리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더욱 정교해질 것”이라며 “지속적인 인프라 노후화 관련 빅데이터 구축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