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스마트센서 R&D 전략 기업이 짠다...'기업 R&D 협의체' 가동

Photo Image

기업이 국가 연구개발(R&D) 기획과 전략 수립 등 전 주기에 참여하는 '산업 R&D 협의체'가 '탄소중립'과 '스마트센서' 분야를 필두로 가동된다.

온실가스 감축 압력이 거세지고 센서 산업이 급성장함에 따라 R&D 전략 수립이 현안으로 떠오르는 등 안팎의 R&D 수요를 고려한 결과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기혁신본부는 3월 탄소중립과 스마트센서 '산업 R&D 협의체'(이하 협의체)를 각각 발족한다.

협의체는 기업과 과기혁신본부, R&D 사업 부처 간 R&D 상시소통 채널로서 R&D 전 주기에 참여한다. 협의체가 R&D 과제를 제안하면 주관 부처가 이를 기반으로 신규 사업을 기획한다. 과기혁신본부는 이를 예산 배분·조정에 연계한다.

협의체는 각 부처가 R&D 사업을 진행할 때 산업계 수요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차년도 예산 배분·조정 관련 의견도 제시한다.

탄소중립과 스마트센서 R&D 협의체를 가장 먼저 발족하는 이유는 국가와 산업이 직면한 현안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 중국, 일본이 탄소중립 선언에 동참하면서 외교·통상 분야에 온실가스 저감이 중대 변수로 떠올랐다. 시멘트, 철강, 발전 등 온실가스 다배출업종은 온실가스 감축이 주요 과제다.

산업 분야에선 4차 산업혁명 및 초연결시대 도래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인지·수집하는 스마트센서가 핵심 부품으로 떠올랐다. 오는 2025년에는 센서 사용량이 1조개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센서 분야의 국내 기술 수준은 미국, 일본 등 주요국 대비 65%에 불과하다.

과기혁신본부는 협의체를 통해 민간이 관련 산업을 주도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기술 수요·공급 기업이 모두 참여해 R&D가 필요한 기술을 발굴하고, 정부와 민간 R&D 역할을 명확하게 설정한다는 계획이다. 기업이 당장 착수하기 어려운 R&D 부문에선 정부 역할을 강화하면서도 민간 R&D 지원 방안 등을 수립, 효율성을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탄소중립부문은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등 핵심 기술 개발이 주요 과제다. 스마트센서부문은 모바일·가전, 자동차, 바이오헬스, 스마트제조 등 4대 전략 분야별 유망 핵심 센서 도출을 통해 센서 소자부터 솔루션까지 전 주기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협의체 참여 기업과 외형은 확정하지 않았다. 다수의 기술 수요·공급 임원 중심으로 협의체를 꾸리되 조직 구성과 운영 방안 등은 민간에 맡긴다는 구상이다.

과기혁신본부는 2개 협의체를 가동하고, 올해 안에 추가 분야를 발굴해서 협의체를 다각화할 계획이다. 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바이오헬스(BIG3) 등 미래 신산업 분야에서 10개 이상의 투자 전략을 수립한다. 파급력이 크지만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 격차가 뚜렷하고 관련 산업의 생태계 기반이 취약한 기술이 우선순위다.

과기혁신본부 관계자는 “민간이 기술 개발을 주도해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R&D 전략을 수립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게 협의체 역할”이라면서 “탄소중립과 스마트센서에 이어 유망 분야를 발굴, 협의체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