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남방연합회, 5G·ICT 시장 공략, RCEP 활용, 대기업과 중기 신남방 진출 지원키로

Photo Image
박복영 청와대 경제보과관. 연합뉴스

박복영 청와대 경제보좌관은 3일 “신남방정책플러스는 5G, 언택트 등 4차산업과 디지털, 신산업 협력을 확대해 한국과 신남방 국가 간 공동번영을 도모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신남방정책플러스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한·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서 발표한 정부 정책이다.

박 경제보좌관은 이날 서울 광화문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신남방비즈니스연합회 7차 회의에 참석해 이 같이 설명했다. 연합회는 대통령 직속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와 한국무역협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를 비롯한 31개 경제단체가 참여한 민관합동 기업 지원 협의체다.

신남방정책특위 위원장이기도 한 박 보좌관은 “코로나 상황이 장기화 되면서 국제적인 보건의료협력 강조, 복원력 있는 GVC 구축, 경제사회 전반적인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 세계경제 환경이 급변하는 와중에 최근 다자주의와 인권 환경을 중시하는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당선과 세계 최대 FTA인 RCEP 서명 등으로 신남방정책이 중대한 변곡점에 이르렀다”고 진단했다.

이 같은 변화에 대응하고자 문 대통령이 '신남방정책플러스'를 발표한 것이라며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정책추진 방향을 미래산업 분야 협력 등 7개 이니셔티브로 선별하고 여기에 정책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기업이 신남방 시장을 기반으로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부연했다.


연합회는 이날 7차 회의에서 △신남방정책플러스 전략을 통한 신남방지역 5G·ICT, 언택트 시장공략 본격화 △전 세계 인구 GDP 30%를 포함하는 RCEP을 활용한 신남방 진출 확대 △대기업과 연합회가 함께 중소기업의 신남방 진출 지원 추진 등을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