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사진= 전자신문 DB]

민관이 앞으로 늘어날 태양광 폐패널 처리를 위해 힘을 합쳤다. 추세대로라면 폐패널이 쏟아지는 시점보다 10여년 앞서 설비 투자가 완료될 전망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큐셀과 신성이엔지 등 태양광 모듈 업체들은 최근 정부에 '폐패널 처리 부담금'을 납부했다. 이 부담금은 폐패널 처리 활성화 사업에 쓰인다. 폐패널 재활용센터 준공이나 관련 처리 기술 개발 등의 용도로 알려졌다.

관련 연구기관들은 폐패널 처리 기술 개발에 한창이다. 폐패널은 분리 후 프레임과 저철분 유리 부품에서 실리콘과 은, 구리 등 소재를 회수하는 과정을 거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상온에서 패널을 분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에는 패널 속 봉지재를 열분해해 물질을 회수하거나 패널을 파쇄해야 했다. 하지만 신기술은 에너지 소모량을 열분해 공정 대비 64% 수준으로 줄이고 비파쇄 방식으로 고순도로 물질 회수가 가능하다. 상용화가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민간과 연구기관의 물적, 기술 지원에 힘입어 대응 속도를 높이고 있다. 2021년 준공을 목표로 충북 진천에 재활용센터를 짓고 있다. 이 센터는 연 9700톤 규모 폐패널을 처리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 수명이 최소 20년에 이르고 태양광 보급이 2000년 후반 들어 본격화한 것을 감안하면 설비 투자가 약 10년 앞서 이뤄지는 셈이다.

민관연이 폐패널 처리에 힘을 합친 것은 최소 80% 이상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태양광 패널에는 전량 수입하는 고부가가치 '희유 금속'이 포함돼 있어 이를 내수화하거나 수출할 수 있다. 안정적 소재 확보와 매출 기여까지 일거양득인 셈이다.

일부에선 향후 태양광 모듈 업체들이 폐패널 처리에 직접 뛰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 태양광 업체 관계자는 “정부 주도로 폐패널 처리 프로세스가 진행되고 있어 사업에 뛰어들지 말지 결정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면서 “정부가 어떤 시그널을 준다면 그 때는 참여를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2023년부터는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가 시행될 예정으로 태양광 패널 생산 및 수입업자가 폐패널 재활용을 책임진다”면서 “폐패널 재활용 산업 활성화로 이어지고 재활용 시설용량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