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철이 다가오면서 김치냉장고에 관심이 쏠린다. 김치냉장고는 김치 외에 과일, 육류, 음료수 등을 보관하는 세컨드 냉장고로 역할이 확대되고 있지만 여전히 전체 판매량의 절반가량이 10월과 11월에 집중된다. 김치냉장고 유통 및 제조사들은 올해 신제품을 대거 출시한 데 이어 프로모션도 실시하고 있다. 올해는 외식이 줄고 집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아진 만큼 김치냉장고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점쳐진다.

◇3도어 김치냉장고 인기 '쑥'
김치냉장고를 선택할 때 먼저 결정해야 하는 것이 도어 수와 용량이다. 김치냉장고는 문 개수에 따라 1도어, 3도어, 4도어가 있다. 도어 개수가 하나인 1도어 김치냉장고는 상대적으로 용량이 적고 가격도 저렴한 것이 많다.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김치 저장만을 원하는 싱글족이나 신혼부부에게 인기다.

이 중에도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모델은 3도어다.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에서 제공하는 소비형태통계시스템 다나와리서치에 따르면 3도어 김치냉장고가 판매 점유율 45%로 가장 높고, 다음이 4도어(4룸, 31%), 1도어(15%)순이다. 가격대는 뚜껑형보다 비싸지만 홈바를 비롯한 다양한 부가기능이 있고, 세련된 디자인으로 인테리어 효과가 좋아 3도어가 인기를 모으는 것으로 보인다.
2021년형 김치냉장고로 호평을 얻고 있는 위니아딤채의 '딤채 EDT33EFRZKT'도 3도어다. 각 룸마다 별도 냉각기가 있어서 식자재와 김치를 최적의 온도로 관리해 준다. 오리지널 발효과학으로 6주 후 묵은지를 맛볼 수 있는 것은 딤채만의 매력이다. 소주를 살얼음 슬러시로 즐길 수 있는 소주 슬러시 모드, 채소·과일 보관 모드, 쌀·곡류 보관 모드가 있어서 식자재별로 최적의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다.
◇김치냉장고 대형화 추세
3~4도어 김치냉장고 구입이 늘면서 선호하는 용량도 올라가는 추세다. 김치냉장고 전체 판매량의 91%가 300ℓ 이상일 정도로 300ℓ 이상 중대형 김치냉장고가 주류를 이룬다.

구체적으로는 300~339ℓ가 전체 판매량의 50%를, 340~469ℓ가 24%, 470~569ℓ가 15%, 570ℓ 이상이 2%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199ℓ 미만 8%, 200~299ℓ 점유율은 2%로 소형 김치냉장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10%에 불과하다. 김치냉장고가 단순히 김치뿐 아니라 다양한 식자재를 보관하는 세컨드 가전제품이 되면서 대용량 선호 경향이 짙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미 340~469ℓ는 점유율이 계속 늘고 있어 앞으로도 김치냉장고 대형화 추세는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사용자 주거환경과 취향에 따라 외관을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김치냉장고 '삼성전자 비스포크 RQ32T7602AP'도 319ℓ다. 빌트인처럼 연출할 수 있고, 도어 색상도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다. 김치 염도에 따라 3단계로 김치 저장온도를 설정해 종류별 맞춤 김치 보관을 할 수 있고, 필요시 냉장·냉동으로 변온하면 냉장고 한 대로 3가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에너지등급별 판매량에서는 지난 3월부터 실시한 '으뜸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환급사업' 영향으로 1등급 김치냉장고 판매량이 급상승했다. 최근 1년간 평균 판매성적으로는 2등급(43%), 1등급(38%) 순으로 2등급 김치냉장고가 더 많이 팔렸지만 환급사업이 본격화된 5월부터는 에너지효율 1등급 제품이 앞서고 있다. 7~8월에는 1등급 김치냉장고 판매점유율이 61%까지 뛰는 이변을 낳기도 했다. 지난 1월만 해도 1등급 에너지효율 제품은 20%를 밑돌고, 65% 이상 대부분이 2등급 제품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환급사업이 역할을 톡톡히 했다.
환급사업은 김치냉장고를 포함해 TV, 에어컨 등 11개 가전제품 중 에너지효율 우수 제품을 구입하면 최대 30만원 한도에서 구매가의 10%를 돌려주는 제도로 지난 9월 종료됐다.
박준호기자 junh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