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사각지대 줄이자'…소상공인 생업 현장도 디지털화

정부가 전통시장, 상점, 공방 등 소상공인의 생업현장 곳곳에 디지털 혁신을 지원한다. 2025년까지 디지털 전통시장 500곳, 스마트상점 10만개를 보급할 계획이다. 디지털 기술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디지털 상권르네상스' 사업도 2022년까지 3곳 선정한다. 지금까지의 소상공인 정책이 상권을 활상화하고 낙후된 시설을 현대화하는데 초점이 맞춰졌다면, 이제는 기술 융합을 통한 비대면·디지털화로 무게중심을 옮겼다.

Photo Image

중소벤처기업부는 17일 이 같은 내용의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방안'을 '제1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3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 긴급 피해지원과 함께 비대면·디지털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소상공인의 근본적인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앞서 지난 6차례 소상공인 대책이 상권활성화, 전통시장 현대화사업 등 하드웨어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집중됐다면 이번 발표는 비대면·디지털화의 흐름에 대응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소상공인의 혁신을 추진한다는 게 의미가 있다.

소상공인 생업현장의 디지털 혁신을 전폭 지원한다. 그간 대면 판매 중심으로 운영돼온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온라인 배달, 무선결제, 가상현실(VR) 지도 등 디지털 기술을 도입한다. 외식업, 카페, 미용실 등 스마트상점에도 사물인터넷(IoT), 증강현실(AR), 인공지능(AI), 로봇기술, 온라인 등을 총 지원한다. 정부는 스마트 상점을 2025년까지 10만개 보급하고, '가치삽시다 플랫폼'을 활용해 소상공인의 라이브커머스 활용도 지원한다.

하나의 상권에 디지털 전통시장, 스마트상점·슈퍼, 스마트공방 등 디지털 기술을 통으로 지원하는 디지털 상권르네상스 사업도 2022년까지 3곳을 선정한다.

'디지털 격차' 해소에도 적극 대응한다. 중장년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2025년까지 5만명에게 현장실습 교육을 실시하고, 디지털 활용도가 낮은 과밀업종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활용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한다. 디지털 교육장도 현재 1곳을 2022년까지 8곳으로 대폭 확충한다.

이외에도 올 하반기부터 온라인 플랫폼 거래 실태조사 실시, 배달플랫폼 협의회 구성·운영 등으로 온라인 플랫폼 상생협력 기반을 확충하고, 상생협력법 개정을 추진하여 법적 근거도 마련한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이번에 대책으로 소상공인 생업현장이 더 스마트해지고, 소상공인의 디지털 격차가 해소되어 골목상인도 글로벌 소상공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며 “소상공인이 살아야 서민경제도 살아나는 만큼, 이들의 자생력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