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디지털 대전환을 위해서는 민간 참여가 대거 확대돼야 합니다. 정부가 주도하는 학교 교육에서 민간과 협력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교육 전환의 핵심입니다.”
이길호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장은 'K-에듀' 모델을 만들고, 더불어 에듀테크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올해 상반기 코로나19 상황에서 전국 단위 온라인 개학이라는 전 세계 유례없는 성과를 일궜다. 이런 결실로 멀게만 느껴졌던 미래교육이 성큼 다가왔다고 생각했지만 K-에듀의 독보적인 모델을 만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정부의 교육 대전환을 위한 노력에도 여전히 민간의 입지는 좁기 때문이다. 다행히 정부도 민간과 함께 가야겠다는 의지는 보이고 있다.
이 회장은 “코로나19 원격수업으로 공교육 시장이 한 번에 열릴 것이라고 기대하지는 않았다”며 “속도의 문제는 있지만 오픈 마인드로 가고 있다는 점에서 방향성은 맞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학교와 교사에게 에듀테크 서비스 선택권을 주는 '바우처 제도'를 예로 들었다. 모든 학교 예산이 구체적이고 세세한 용도를 달고 있는데다 교육부나 교육청이 지정하는 도구가 아니면 학교에서 사용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이런 학교 구조에서 학생·교사 맞춤형 수업은 기대하기 힘들다. 학교와 교사의 재량권이 인정돼야 한다.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제도가 교육 바우처다.
그는 “융통성 있게 선택하고 그 경험을 축적시켜 갈 수 있어야 한다”며 “교육 현장의 재량권이 허용된다면 다양한 모델이나 표본을 만드는 것도 성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나 공공기관도 이를 긍정적으로 보고 논의의 틀을 만들고 있는 만큼 제도 개선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회장은 “제도를 전체적으로 한꺼번에 개선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면서 “시범학교 같은 모델이 생겨도 매우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업계의 준비도 요구된다. 학교 재량권이 점차 열린다면 업계도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이 회장의 생각이다.
그는 “수요자 맞춤형으로 교사가 솔루션과 서비스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지금은 모두 개인의 경험이나 개인적인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근하고 있어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육이나 기술, 기업을 폭넓게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관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K-에듀 열풍을 세계로 확산하기 위해서는 수출길도 다시 개척해야 한다. 코로나 사태 이후 전 세계가 빗장을 걸어잠그고 있는 만큼 K-에듀 수출을 위한 정부의 역할은 어느 때보다도 크다.
이 회장은 “비대면 상담회 등 정부와 기관에 많은 의지를 하고 있다”면서도 “현재는 해외 사교육 업체나 기업 위주로 공략하고 있는데 정부가 나서서 해외 교육기관이나 교사에게 K-에듀를 소개하거나 뉴스레터 등을 보내줄 수 있는 채널을 개척해주기 바란다”고 지원을 요청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