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하반기부터 개방형 운용체계(OS) 도입을 본격화한다. 공공이 선도적으로 개방형 OS를 도입, 특정 OS 종속도를 낮추고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한다. 업계는 공공이 성공사례를 만들면서 민간 개방형 OS 도입 확산에 긍정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행정안전부는 연내 개방형 운용체계(OS) 기반 서비스형데스크톱(DaaS) 정보화전략계획(ISP)를 수립하고 내년부터 개방형 OS 시범사업을 시작한다. 시범사업 성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사업을 확대, 2026년까지 공공 내 OS 도입을 늘릴 계획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등 관계 부처, 기관과 함께 DaaS 서비스에 개방형 OS를 탑재하는 서비스를 모색 중”이라면서 “연내 ISP 마련과 함께 150여명 행안부 공무원 대상 테스트 운영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행안부는 지난해부터 개방형 OS 도입을 타진했다. 당시 마이크로소프트가 올해 1월부터 윈도 7 무상 기술 지원을 종료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전 행정기관과 공공기관이 긴급하게 PC를 교체해야하는 문제가 불거졌다. 전 행정·공공기관 윈도7 PC 교체 비용을 7800억원대로 예상했다.
행안부는 특정 OS에 종속하지 않는 방안을 고민했다.
행안부는 개방형 OS를 도입하면 종속도를 줄이고 비용절감까지 가능한 일석이조 효과를 누릴 것이라 판단했다. 구름 OS, 우분투, 하모니카 OS 등 개방형 OS와 티맥스OS 등 대체 가능한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면서 OS 선택지가 넓어진 점도 긍정 영향을 미쳤다.
클라우드 환경 전환 분위기도 개방형 OS 도입 가능성을 높였다. DaaS는 워드프로그램 등 각종 상용 소프트웨어(SW)를 개인 PC에 설치할 필요 없이 인터넷만 접속하면 사용 가능한 환경을 제공한다. DaaS 환경에서 OS는 중요하지 않다. 이용자 PC를 중앙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는 OS 관계 없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보안이 최대 걸림돌 중 하나였다.
행안부 관계자는 “개방형 OS나 DaaS 서비스 도입 관련 보안 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어 KISA와 국가보안기술연구소 등 보안 전문 기관과 함께 보안 체크리스트 등을 만들어 확인할 계획”이라면서 “시범사업 등을 거치면서 상황별 보안 점검과 보안성 확보를 위해 준비해야 할 사안 등을 세부적으로 챙길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