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국내 기업이 도심항공교통(UAM) 구현을 위한 개인비행체(PAV)를 개발하더라도 낙하산 시스템을 해외 업체에 의존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이 드론 추락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기준 도입이 늦어지면서 관련 산업이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래 먹거리를 위해 UAM 유관산업 관련 유망 기업을 발굴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정책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내 항공안전법은 드론 추락을 대비한 안전장치 탑재를 의무화하고 있지 않다. 낙하산을 비롯한 안전장치 필요성을 검증하는 등 법제화 준비 단계에 머물고 있다.

낙하산 시스템은 드론을 포함한 무인 항공기가 자유 낙하할 경우 작동한다. 낙하산을 전개해 무인 항공기 추락에 따른 인적·물적 사고를 예방한다. 드론뿐 아니라 PAV에도 확대 적용 가능하다.

현재 국내에서 드론용 낙하산 시스템을 개발해 양산하는 곳은 초기 스타트업인 헥사팩토리 한 곳뿐이다. 개발에 착수한 기업이 더 있었으나, 양산으로 이어가진 못했다고 전해졌다.

반면 해외에서는 낙하산 시스템 장착을 의무화하는 국가가 속속 나오면서 산업이 성장하고 있다. 미국과 영국은 상업용 드론이 사람 위를 비행하려면 낙하산 시스템을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칠레도 공공용 드론 6㎏ 이상에는 낙하산 시스템 장착을 의무화했다.

현대 시장을 주도하는 곳은 미국, 유럽 등 해외 업체다. 미국 인데니스·마스, 이스라엘 파라제로, 체코 갤럭시 GRS, 오스트리아 드론 레스큐 시스템 등이다. 이들은 드론을 넘어 PAV용 낙하산 시스템도 연구개발(R&D)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레이츠 리서치에 따르면 무인 항공기 낙하산 시스템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9673만달러(약 1154억원)다. 연평균 6.8% 성장해 2026년 1억5330만달러(약 1829억원)로 커질 전망이다. 각국의 드론 관련 안전 규제 추세와 UAM 상용화 계획을 고려할 때 시장 성장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드론 활용 분야가 물류 배송, 모니터링 등으로 다양해지면서 탑재한 고가 장비 파손은 물론, 추락 시 사고 예방 위한 안전장치가 요구된다.

또 PAV에도 낙하산 시스템이 필수다. 300~600m 상공에서 운항되기에 자유 낙하 시 즉각적으로 낙하산을 전개해야 탑승자 안전을 지킬 수 있다. 낙하산은 프로펠러 위에도 탑재가 가능해 기술적 제한은 사실상 없다. 특히 PAV 시장은 대량 양산체제를 갖춘 현대자동차, 토요타, 아우디 등 완성차 업체가 사업에 뛰어들었기에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된다. 유관산업인 낙하산 시스템 시장 수혜가 기대되는 이유다.

일각에서는 PAV를 개발하는 현대자동차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유관산업 유망 기업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정부가 2025년 UAM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만큼 PAV 개발 단계에서부터 협업이 가능한 UAM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려면 시간이 촉박하다는 것이다.


최재호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자문위원은 “낙하산 시스템 시장은 국내 기반이 사실상 없어 향후 해외 업체로부터 수입해야 할 가능성이 크다”며 “미래 먹거리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진형기자 j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