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이후 지향하는 한류를 '신(新)한류'로 정의하고 이를 확산하기 위한 정부지원 종합 계획을 발표했다. 한국문화 전반으로 한류 콘텐츠 범위를 넓히고 한류 콘텐츠 기반 산업 간 시너지를 창출하는 게 핵심이다.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6일 국무총리 주재 제100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신한류 진흥정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신한류 진흥정책 추진계획에는 올해 2월 출범한 한류협력위원회 소속 13개 부처, 12개 공공기관이 논의한 한류 확산 방안을 담았다.
정부는 20여년간 지속된 한류의 시기적 특징을 분석해 네 단계로 구분, 2020년 이후 한류를 신한류로 지칭했다. 신한류는 한국문화 전반에서 한류 콘텐츠를 발굴하고 연관 산업과 연계를 강화하며, 상호 문화교류 지향으로 지속성과 파급효과가 높은 한류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신한류 지원을 위해 확산과 융합, 기반이 중심인 3대 지원전략, 9대 정책과제를 발표했다.
첫 번째 지원전략은 '한류 콘텐츠 다양화로 파급력 제고(확산)'다. 기존 콘텐츠 중 경쟁력 있는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고, 전통문화·예술·스포츠 등 우리 문화 전반에서 잠재력 있는 새로운 한류 콘텐츠를 찾아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11월 열리는 '제1회 한·중·일 e스포츠 대회'를 계기로 우리 e스포츠를 세계적 한류 콘텐츠로육성 한다. 기존 대중문화 콘텐츠 외에 한식, 태권도, 문화재 등 생활문화 전반으로 한류 저변을 확장한다. 해외 한식당 한국적 이미지 강화 사업, 문학 한류 확산도 추진한다.
'한류로 연관 산업 동반성장 견인(융합)'이 두 번째 지원전략이다.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활용해 소비재, 서비스 산업 경쟁력을 높여 연관 산업 동반성장을 유도하는 게 목표다.
화장품(K-뷰티), 농·식품(K-푸드), 수산물(K-피시), 패션(K-패션) 등 소비재 산업 마케팅에 한류를 적극 활용하고, 관광·의료·교육 분야도 한류와 연계해 서비스 산업 경쟁력을 높인다.
명동 강남 등 국내 거점상권에 한국미용(K-뷰티) 체험관을 신설하고 한국문화축제를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한다. 2022년까지 우수제품 300개를 브랜드케이(K)로 선정, 각종 한류행사와 연계한 해외 마케팅을 지원한다.
세 번째 지원전략은 '지속가능한 한류 확산 토대 형성(기반)'이다. 한류 관련 정책과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한류 소비층 확대와 문화교류를 통해 한류 우호적 인식을 확산시킨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주재하는 한류협력위원회를 중심으로 협업사업을 기획·추진한다. 해외 저작권 보호 지원체계를 위한 국제공조, 국제 문화교류 증진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박양우 문체부 장관은 “콘텐츠 100달러 수출이 소비재 248달러 수출을 유발하는 등 한류는 연관 산업 성장에 크게 기여한다”면서 “한류 지속적 확산을 위해 부처별로 분산된 지원정책을 한 데 모으고 나아갈 방향을 수립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표〉한류가 거둔 효과
〈표〉신한류 진흥정책 추진계획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