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산업계 "실적 부진에 하반기 R&D 투자 축소 불가피"

Photo Image

상당수 기업이 실적 부진으로 하반기 연구개발(R&D) 투자와 채용을 줄일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계는 신속하고 지속가능한 정부 지원책 마련을 요청했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이같은 내용의 '코로나19에 따른 기업 R&D 활동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3월 1차 조사에 대한 후속으로, 지난달 22일부터 25일까지 나흘간 연구소 보유 기업 1221개(대·중견 기업 55개, 중소·벤처 기업 1166개)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기업은 실적 부진으로 R&D 투자와 연구원 채용 위축이 심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응답기업의 58.0%가 계획보다 R&D 투자를 축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1.5%는 연구원 채용도 축소할 것이라고 답했다. 3월 조사보다 R&D 투자 축소 응답은 10.3%포인트(P), 연구원 채용축소 응답은 10.2%P 증가했다.

규모별로는 대·중견기업의 50.9%가 계획보다 R&D 투자를 축소한다고 밝혔다. 이는 3월 조사의 34.4%보다 16.5%P 증가한 수치다. 신규인력 채용 또한 49.1%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전 조사 보다 12.9%P 높아진 수치다.

중소기업 또한 R&D에서 투자 및 인력채용 모두 부정적 응답이 늘었다. R&D 투자를 축소한다는 응답이 58.4%로 3월 조사의 48.2%보다 10.2%P 증가했다. 크게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도 19.6%로 3월의 13.1%보다 증가했다. 연구인력 채용은 51.5%가 축소될 것이라고 응답해 3월 조사의 41.6%보다 10%P가량 높아졌다. 최근 3개월내 연구원이 감소했다고 응답한 기업 비율도 14.6%나 됐다.

기업은 R&D 투자 여력 악화로 장기 프로젝트를 축소하거나 외부 자금 수혈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34.6%가 미래를 위한 R&D를 축소하고 단기 프로젝트 중심으로 R&D를 재편하고 있으며 14.2%는 프로젝트의 중단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의 49.4%는 부족한 R&D 자금 확보를 위해 금융기관 대출을 이용한다고 응답했고 정부 R&D사업을 활용한다는 기업도 48.9%에 달했다.

다만, 코로나19 감염사태가 R&D에 미친 영향을 묻는 질문에 대해선 부정적 응답 비율이 감소했다. 전체 응답 기업의 63.7%(777개)가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 3월 조사 때 부정적 응답 비율인 79.8% 대비 다소 완화된 수치다.

긍정적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한 기업은 6.5%로 1차 조사 2.4%에 늘어났다. 정보통신 기업의 12.2%가 긍정적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해 가장 긍정적 모습을 보였다.

정보통신 기업은 3월 조사에서 부정응답이 85.3%에 이르고 긍정응답은 0.6%에 불과했으나 5월 조사에는 부정응답이 57.4%로 감소했다. 긍정응답은 12.2%로 상승해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포스트 코로나시대에 언텍트 산업이 급부상할 것이라는 전망과 정부의 강력한 육성정책 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지원책과 관련해선 76.5%가 연구인력에 대한 고용유지 지원이 가장 시급하다고 응답했다.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정부 R&D사업의 확대(51.8%)가 뒤를 이었다.

기업별로는 대·중견기업이 R&D 세지지원 확대(61.8%), 연구인력 고용유지 지원(61.8%)을 시급한 지원정책으로 손꼽았다. 중소기업은 연구인력 고용유지 지원(77.2%), 정부 R&D사업 확대(52.4%) 순이다.

마창환 산기협 상임부회장은 “기업 R&D에 있어 정부 지원 의존도가 높아지고 단기 프로젝트 중심으로 추진되는 불황형 R&D 양상을 보이고 있다”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우리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보다 파격적 R&D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