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형 성대 AI대학원장 "우리 정부도 AI분야에서 '퍼스트 무버' 돼야"

Photo Image
한국공학한림원이 27일 온라인으로 제249회 NAEK포럼 한국의 AI인재 전략, 어떻게 할 것인가?를 진행했다. 이지형 성대 AI대학원장이 발표하고 있다.

“정부에 인공지능(AI)관련 문의를 할 때마다 항상 듣는 말이 있습니다. '미국, 중국, 유럽에서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란 말입니다. 왜 우리나라 정부는 AI분야에서 '퍼스트 무버'이면 안 됩니까.”

한국공학한림원이 27일 온라인으로 진행한 제249회 NAEK포럼 '한국의 AI인재 전략, 어떻게 할 것인가?'에서 이지형 성균관대 AI대학원장은 “급변하는 AI 산업분야에서 우리나라에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빠르고 대대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AI분야에서만은 정부가 '안정'보다 '도전'을 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물론 정부는 전체 산업을 고려해야 돼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알지만, AI인재를 양성을 위해서는 다른 나라 사례를 참고하기보다 우리나라에 필요한 것을 고민한 뒤, 집중 투자하는 결단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업에만 '퍼스트 무버'를 요구하기보다 정부 또한 '퍼스트 무버'가 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정부의 AI대학원 뿐 아니라 다양한 AI 인재 육성 기관이 필요하다고 이 원장은 밝혔다. AI대학원에서만 AI인재를 육성해서는 안 된다고 진단했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대학원에 선정된 대학은 총 8곳으로, 각 대학 당 정원은 약 50명 내외에 그친다.

그는 “다양한 분야에서 AI 인재를 필요로 하는 만큼 대학원 뿐 만 아니라 정부가 다양한 곳에서 인재를 육성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AI발전으로 오히려 수도권과 지방과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만큼 정부의 역할이 더 중요해졌다는 주장도 나왔다. 하정우 네이버 클로바 AI연구소장은 “AI가 나오면서 기술 덕분에 많은 정보가 효율적으로 분배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정보 격차와 경제 불평등이 더 심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하 소장은 “정부가 이 부분을 체크해서 정보 비대칭성을 해소해야 한다”며 “일례로 AI 커뮤니티가 수도권에서는 활성화돼있지만, 지방에는 거의 없다. 정부에서 행사나 스터디 인프라 등을 지원해서 AI 격차를 줄이고, 인재 양성에 신경 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지형 원장은 AI 인재 육성을 위해서는 정부 뿐 아니라 기업의 역할도 크다고 강조했다. 대학 교육으로만 AI 전문가를 키울 수 없다고 단언했다. 그는 “AI 기술은 기업 현장에서 개발되고 있기 때문에 AI 인재의 핵심은 결국 기업”이라며 “정부는 생태계 조성에 지원하고, 기업과 학교가 긴밀하게 엉켜서 학생을 지도할 때 AI 인재를 대거 배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지연기자 now21@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