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구로구 콜센터에서 집단감염 사례가 나타나면서 수도권 코로나19 확산 우려가 커진 가운데 정부가 집단감염이 발생하기 쉬운 특성을 가진 사업장·시설 등을 선정해 집중 관리하기로 했다.
윤태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밀폐된 공간에서 사람들이 밀집해 일을 하며 비말로 인한 감염 위험성이 큰 환경을 가진 사업장 및 시설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현재까지 서울 구로구 콜센터에서 직원 집단감염으로 총 90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에 따라 근무환경이 감염에 취약한 사업장의 집단감염을 통제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윤 총괄반장은 “재택근무, 유연 근무, 온라인 활용 근무방안 마련, 출·퇴근 시간 및 점심시간 조정, 사무실 좌석 간격 조정 등을 통해 사업장 내의 밀집도를 낮춰 감염 위험을 낮추도록 유도하는 방안 등을 검토했다”면서 “콜센터와 유사한 성격을 가진 사업장인 노래방, PC방, 클럽, 스포츠센터, 학원 등도 상황에 따라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보건복지부와 시·도는 코로나19 증상이 있는 중증응급환자를 책임지고 진료하는 '중증응급진료센터'를 지정·운영하기로 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감염을 우려한 응급실 중증응급환자 미수용으로 인한 중증응급환자의 치료 적기를 놓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다.
지정된 '중증응급진료센터'는 '사전환자분류소'에서 중증도·감염여부를 분류하며 코로나 확진·의심 중증응급환자는 별도 '격리진료구역'에서 응급처치를 제공한다.
또 중증응급진료센터는 코로나 의심증상이 있는 중증응급환자에 대한 집중 진료를 위해 경증환자의 응급실 진입을 제한하게 된다.
정현정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