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장기화로 중국산 중간재 공급이 차질을 빚으면 우리나라와 미국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거란 분석이 나왔다. 또 이번 사태로 우리나라와 일본·홍콩·아세안 주요국가 경제협력에도 부정 영향이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18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발간한 '코로나19 사태의 주요국 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중국의 전체 중간재 수출에서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비중은 6.5%(751억8750만 달러)로 미국(10.7%)에 이어 두 번째 크다.
산업별로는 중국산 1차 금속 중간재 수입국 가운데 우리나라가 10.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전자부품과 화학 중간재 수출에서 한국의 비중은 각각 8.5%·7.5%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다. 섬유·의복, 기계, 자동차·운송 분야 비중도 전체 수출 국가 중 세 손가락 안에 꼽힌다.
KIEP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돼 중국산 중간재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면 현지진출 기업과 수입기업에 부정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18년 중국이 세계경제와 세계 교역량에서 차지한 비중은 각각 15.8%·10.6%로, 2003년 사스 당시 비중인 4.3%·4.6%와 차이가 극명하다. 중국산 중간재 공급이 끊기면 한국은 물론, 세계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방증이다.
KIEP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중국 이외 국가와 우리나라 경제협력 미치는 부정 영향이 확대될 수 있어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410여명을 넘어선 일본은 대한(對韓) 수출규제 조치 등 양국 관계 악화로 이미 우리나라에 부정 영향이 큰데, 중국 내 공장 중단으로 일본기업 실적에 악영향이 미치면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봤다. 감염자 약 20명이 발생한 대만의 경우, 지난해 우리나라의 수출·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3%대로 낮아 국가 경제에 주는 영향을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미국 애플 협력업체인 대만 폭스콘의 중국 내 생산 설비 가동이 중단됨에 따라 정보기술(IT) 제품 공급망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싱가포르·베트남·말레이시아·태국 등 아세안 주요 국가는 지난 17일 기준 확진자가 146명을 넘어섰다. 이들 국가는 전체 수출 14%를 중국에 의존, 수입 비중은 20%를 상회한다. 한국의 2대 수출대상자·3대 투자지역이고, 매년 900만명이 방문하는 최대 경제협력 파트너라는 점을 고려, 코로나19로 인한 아세안 경제 위축이나 불안은 우리나라의 대(對)아세안 경제협력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인도의 경우, 코로나19 확진자가 3명 정도이고 대외무역 개방도는 43%에 불과해 한국경제에 부정 영향이 크진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최재필기자 jp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