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악플 지적하는 기사에도 악플 달리는데

Photo Image

한 아이돌 여가수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지 한 달이 지났다. 고인은 생전에 우울증을 앓은 것으로 알려졌다. 네티즌 악플이 원인이라는 추측이 제기됐다. 카카오는 연예 뉴스에서 댓글 시스템을 잠정 폐지했다. 물론 근본 해결책은 아니다. 그러나 이 같은 댓글 폐지 소식을 전하는 뉴스에도 어김없이 욕설과 악플이 달렸다.

사실 카카오의 결정 이후 댓글 폐지 자체를 지적하는 목소리는 높지 않았다. 오히려 댓글 폐지를 '연예' 분야에 한정하는 것에 대한 궁금증이 많았다. 정치·사회·스포츠 분야 악플도 결코 만만치 않다. 기자들도 악플에 시달린다. 기사를 못 써서 욕을 먹는 건 괜찮다. 지적받을 기사도 많다. 입장이 달라 나오는 거친 표현도 대부분 이해한다.

기자 사진이 함께 실린 기사에서 나오는 인격 모독성 악플은 난감하다. 좋은 기사에도 외모 얘기가 먼저 나온다. 특히 여기자들 피해가 크다. 외모 품평은 물론 성희롱도 빈번하다. 참다 못해 법적 조치를 취한 기자도 있다. 기사에 대한 책임감을 높인다는 취지가 조롱거리로 전락했다.

악플이 가장 심각한 곳은 인스타그램을 포함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다. 뉴스 댓글은 안 보면 그만이지만 본인 SNS를 운영하면서 댓글을 아예 안 보기는 어려운 일이다. 전달성이 높아 악플이 더 기승을 부린다. 댓글 기반으로 작동하는 서비스에서 댓글을 없앨 수도 없다.

원색의 욕설만 악플은 아니다. 오랜 경험으로 법에 안 걸리는 악플도 잘 연구돼 있다. '주어는 없다' '판사님, 저는 웃지 않았습니다' '읍읍..읍읍읍'(악플을 달고 싶다는 의도만 전달하는 것) 등 상대방에게 상처 주는 방식은 수십가지도 넘는다. 정치권에서는 '악플 방지법' 등 관련 법안을 마련한다고 한다. 외국 서비스는 국내법으로 제한하기도 어렵다. 텔레그램, 카카오톡 오픈카톡방과 같은 실시간 SNS는 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결국 나오는 결론이 예방 교육이다. 10년 전에도, 20년 전에도 같은 얘기가 나왔다. 제대로 된 교육이나 실효성이 없었다는 얘기다. 10년 후에도 마찬가지다. 제도로 대응하기 어렵다면 민간에서도 대책이 적극 나와 줘야 한다. 효과가 크든 작든 카카오가 첫 시작점을 끊었다. 인터넷 사업자들의 뒤따르는 다음 걸음이 더 필요하다.

Photo Image

이형두기자 dudu@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