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경제 시대, 남북 스타트업 역할은

Photo Image
김진향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

내달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남·북 경제협력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한층 높아진다. 기존 임가공 분야 협력이 고부가가치 창출 방향으로 재편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벤처·스타트업도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과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은 오는 20일 서울 강남구 팁스타운에서 '남·북 스타트업 협력 환경 마련'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연다. 한반도 평화경제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개최한다. 스타트업 간 협력을 통해 개성공단 사업을 고도화하는 방안을 찾을 계획이다.

재단은 통일부 산하기관이다. 개성공단을 스타트업이 참여하는 대규모 혁신 단지로 발돋움시킬 목표다. 이를 위해 올해 초 '남북 스타트업 협력 운영포럼'을 꾸렸다. 한국엔젤투자협회, 창업진흥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서울창업디딤터, 북한과학기술연구센터 등 전문가로 구성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개성공단 스타트업이 마음 놓고 사업을 벌일 수 있는 조건을 두고 열띤 토론이 펼쳐진다. 김광길 법무법인 지평 변호사는 법·제도,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는 환경·문화 관점에서 대안을 제시한다.

이찬수 SK텔레콤 남북협력기획팀장은 'ICT 협력 및 산업화 방안'에 대해 발표한다. 임정욱 스타트업얼라이너스 센터장은 '해외 창업 생태계 성공 요인'을 소개한다. 정재승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학과장은 '스타트업 중심 스마트시티'를 남북경협 새 화두로 던진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따르면 2013년 기준 북한 정보통신(IT) 산업 종사자 수는 17만명으로 추정된다. 매년 1만명이 늘고 있다. 이 가운데 4만6000명은 중국과 러시아 등지에서 일한다. 대부분 평양과기대, 김일성종합대, 김책공대 출신이다. 주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소프트웨어(SW) 기술자다.

개성공단은 2004년 조성됐다. 서울에서 1시간, 평양에서 2시간 거리에 자리 잡았다. 현재 전체 부지 800만평 중 1단계 공사(100만평)만 개발 완료됐다. 기업간 협업 공간을 갖췄다. 기술 교육센터, 아파트형 공장, 종합 지원센터와 같은 기반 인프라도 확보했다.

다만 개성공단 재기까지 풀어야 할 숙제가 있다. 남북경협이 대북 제재 사항이기 때문이다. 북미 정상회담 결과에 이목이 집중되는 이유다.

김진향 재단 이사장은 “한반도 평화경제 시대에 대비해 개성공단이 하루 빨리 재개돼야 한다”면서 “다양한 분야 스타트업 간 협력을 통해 개성공단이 한 단계 더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종희기자 choij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