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장 '극일' 외치지만 국산 공작기계 CNC 점유율 2%도 안돼

기계산업 핵심코어인 공작기계 수치제어반(CNC)의 국산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산 점유율은 2%에도 미치지 못한다.

정부가 80억원에 가까운 예산을 투입해 국산 CNC 개발에 성공했지만 국내 산업현장에서도 예산 및 시스템 호환성 등을 이유로 외면 받고 있다.

Photo Image

1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송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이 전기연구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공작기계 국산 CNC 점유율은 2%도 되지 않는다. 나머지 98% 이상은 일본과 독일에 의존한다. 수입제품 중 일본산 점유율은 91.3%, 독일산 점유율은 8.7%다. 이중 일본의 화낙이 생산하는 제품이 82%를 차지한다.

공작기계는 '기계를 만드는 기계'로 불리며 기계공업의 기초가 된다. CNC는 공작기계의 두뇌역할을 하는 장치다.

가공형상을 수치화해 공작기계 움직임을 지령하는 상위제어기인 'NC', 지령을 받아 공간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모터와 드라이브로 구성된 '서보제어시스템' 및 가공 공구가 장착돼 회전을 하는 모터와 드라이브로 구성된 '스핀들제어시스템'의 하위제어기로 구성된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 공작기계 생산 6위, 수출 8위, 수입 10위, 소비 6위 국가다. CNC 관련 국내 시장은 3억달러 규모, 세계 10위권이다. 그럼에도 국산 제품은 맥을 못추는 상황이다.

송 의원은 “화낙이 국내 시장을 독점하는 이유는 성능이 좋고 값싸며 고장도 적게 나는 등 경쟁력의 3박자를 고루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우리 CNC 업계도 사후서비스, 호환성, 네트워크와 센서 등 기반기술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도 일본의 기술 수준을 따라잡기 위해 78억45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기연구원 자체사업인 '공작기계 정밀제어시스템 제어기술개발(2014~2021년)'을 수행 중이다. 올해까지 60억원 예산을 투입, 국산 CNC 기술개발에도 일찌감치 성공했다.

일본산 CNC에 뒤지지 않는 핵심 요소기술을 확보했다는게 정부 입장이다.

그러나 산업현장에서 활용이 되지 않으면서 '극일'을 기치로 한 소재·부품·장비산업 활성화는 요원하다.

송희경 의원은 단순히 연구개발(R&D) 예산 투입으론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송 의원은 “기술을 개발해도 산업현장에서 기존 시스템 호환성과 예산 문제 등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면 '극일'은 이뤄질 수 없다”며 “정부와 연구원이 기술개발부터 산업현장 보급 및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보다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추가 R&D를 통한 다양한 현장조건에서의 기술 개선 및 성능 검증 △공작기계 외 로봇과 반도체장비, 의료기기 등 유사분야를 더한 규모의 경제 조성 △사후서비스를 위한 자동진단 및 모듈화 △인력양성을 담당하는 고교, 대학에 국산 CNC 보급 및 기능사 자격증 분야 국산 CNC 지정 등을 제안했다.

송 의원은 “가장 중요한 것은 공작기계용 '테스트플랜트' 구축”이라며 “산업 현장에선 공작기계 수요자가 실적용 장기간 신뢰성 보장을 요구한다”고 전했다.

정부도 내년부터 2024년까지 국비 280억원, 지방비 180억원 등 총 460억원을 투입해 경남 창원에 공작기계 CNC 테스트 플랜트 구축 사업을 실시하는 등 국산 CNC 개발 및 보급에 나선다.

전기연구원 관계자는 “테스트 플랜트를 구축해 국산 CNC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한편, 신뢰성과 내구성 증진, 국산 CNC 적용 시범공장 지원 등 국내 기계산업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책을 마련해 실시하겠다”고 설명했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