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미래모임 참석자는 5세대(5G) 이동통신 산업과 생태계 발전을 위해서 대기업의 상생 노력, 그리고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용호 틸론 대표는 “ SK텔레콤과 KT 등 대기업이 5G 네트워크를 플랫폼화 하고 중소기업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개방,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 수 있도록 협력이 이뤄진다면 바람직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전홍범 KT 융합기술원장(부사장)은 “5G는 그 자체보다는 여러 산업, 서비스와 연결을 통해 큰 기회가 생긴다”면서 “2025년 사회 경제적 가치 43조원 전망 역시 통신사 혼자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아니다”라고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KT는 판교 5G 오픈랩을 통해 API를 개방하고 서드파티 업체가 보안 등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할 계획임을 밝혔다. 관련 비즈니스 모델도 만들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종민 SK텔레콤 ICT기술센터 그룹장(상무)은 “SK텔레콤은 올해 6월 27일 48개의 오픈 API를 공개했다”면서 “미세먼지 등 날씨정보, T맵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연말까지 72개로 늘릴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이 그룹장은 “초반에는 무료로 제공하고 중소기업의 수익이 발생한 후에는 수익을 공유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면서 “배달의 민족이나 스타벅스 드라이빙 스루 서비스에서도 우리 오픈 API를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5G 확산을 위한 규제 개선 요구도 이어졌다. 참석자는 정부 규제로 인해 5G 기반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어려움은 없는지 궁금해졌다.
전홍범 원장은 “5G는 융합서비스에 활용되는 만큼 통신보다는 타 산업 규제가 걸림돌”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율주행을 예로 들면 아직 자율주행을 위한 허가나 인증 체계 자체도 없는 상태로 시범서비스를 위한 운행허가는 지정된 일부 지역에서만 서비스를 테스트할 수 있다”면서 “원격의료 역시 의료계 반발 등으로 시행 기반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종민 그룹장은 “관련 규제가 있는지 없는지, 규제 담당기관이 어딘지조차 모를 때가 많다”면서 “사업을 하는 사람은 이처럼 '보이지 않는 영역'이 리스크인데 이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그룹장은 “그나마 규제 샌드박스가 가동되면서 의지가 있는 사람은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규제 리스크를 덜 수 있게 돼 다행”이라고 말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