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스마트제조 혁신, 한국 등대공장을 찾아서<8>지역 제조업체 확산

국가경제 근간인 제조업에 스마트 바람이 불고 있다. 정부는 제조 전 과정을 정보통신기술(ICT)로 통합해 최소 비용과 시간에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생산성 향상과 에너지 절감, 인간중심 작업환경 구현이 목적이다. 개인 맞춤제조, 제조·서비스 융합 등 새로운 제조·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지역 중심 제조혁신 추진체계를 구축했다.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통해 제조업 기반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이는 국가의 안정적 경제성장과 지역 균형발전과도 연계된다.

Photo Image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스마트공장 도입 우수사례로 꼽은 한 기업의 제조공정 모습.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 보급 목표

중소벤처기업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 보급 목표를 세웠다. 당초 2만개 구축 목표를 지난해 3만개로 상향 조정했다. 최근 한국 산업이 직면한 제조업 성장 한계와 일자리 문제 해법으로 스마트공장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스마트공장은 4차 산업혁명 변화 속에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필수 인프라로 여겨지고 있다.

국내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은 꽤 오래전에 시작됐다. 중기부 전신인 중소기업청이 2002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을 위한 생산현장디지털화 사업을 시작했다.

당시 기술적 한계로 스마트공장 초기기술(POP)을 활용해 생산이력관리(기초수준) 중심에서 공장운영(MES), 제품개발(PLM) 등으로 고도화하며 진행했다.

2014년부터는 산업부가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을 추진했다. '제조업혁신 3.0'에 따라 2020년까지 1만개 스마트화 목표를 수립했다. 특히 산업혁신운동을 통한 민간차원의 스마트공장 보급이 시작됐고 2015년 스마트공장 추진단도 공식 발족했다.

2017년 중기부 출범과 함께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은 더욱 확대됐다. 산업부로부터 사업을 이관 받은 뒤 지역 제조업 중심 스마트공장 보급 전략을 수립했다.

스마트공장 수준을 기초, 중간1, 중간2, 고도화 등(레벨 1~5)으로 나누고 기업 현실에 맞게 단계적 스마트화를 추진키로 하면서 구체화 했다.

중기부는 올해 스마트공장 보급 목표를 4000개로 정했다. 이에 따른 예산 3400억원을 투입한다. 작년 1300억원과 비교하면 2배를 훌쩍 넘는다. 7월 말 현재까지 3397개 신청을 받았고 누적기준 1만1300개를 구축한 상태다.

지원 규모나 각종 행정 절차도 개선하고 있다. 중소기업이 제대로 된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수 있도록 신규 구축 지원한도를 기존보다 2배 확대했다. 기존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이 레벨3(중간1) 수준 이상으로 스마트공장을 고도화할 경우 최대 지원 규모도 높였다.

신청기업이 신속히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거나 고도화할 수 있도록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작업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지역 중심 민·관·학·연 참여 중소기업 제조혁신 추진체계 가동

지난달 스마트공장 보급과 함께 제조혁신 연구개발(R&D)·표준화 등을 종합 지원하는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출범했다.

중소기업 생산현장 스마트화를 추진하기 위해 신설한 핵심기관으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민관합동스마트공장추진단 조직을 통합해 만들었다.

역할은 스마트공장 기반 조성을 위한 자금, 인력, 장비 지원과 구축 정책연구, 중장기 기획,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 평가·관리 등이다. 또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 성과확산, 수준확인제도의 개발·보급·확산 등 지원, R&D사업 기획, 평가·관리, 운영 등도 수행한다.

이에 앞서 서울, 부산, 대구, 광주, 인천,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경기대진, 포항 등 전국 19개 테크노파크(TP)에 스마트제조혁신센터 구축을 완료했다.

스마트제조혁신센터는 지역 제조혁신 구심점으로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스마트공장 구축 과정에서 겪게 되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착 지원한다.

스마트공장 신청·접수부터 선정, 협약, 최종점검 등 전반적인 보급업무는 물론 컨설팅, 교육, 사후관리, 기술개발 등 역할을 수행한다. 지역 TP에 설치돼 있어 중소기업 접근성이 높아졌다.

동시에 지자체, 지방중기청, TP,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지역 혁신주체 간 협업을 이끌 지역제조혁신 위원회도 구성했다.

협의체를 중심으로 지역 제조혁신 운동을 전개해 보급·확대 사업의 큰 성과를 거두겠다는 전략이다.

스마트혁신사업본부를 컨트롤타워로 두고 스마트제조혁신센터가 전초기지 역할을 수행하는 지역 중심 제조혁신 추진체계가 갖춰졌다.

◇대기업 노하우 배우고 기업 간 연계 강화

중기부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핵심 키워드는 민간 주도와 상생협력이다. 특히 올해부터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을 확대해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을 더욱 확산시킬 계획이다.

민간 주도 제조혁신을 보다 가속화하기 위해 2개 이상 대기업이 공동 출연한 경우도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했다.

대기업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길도 확대된다. 스마트공장 구축 시 대기업 출신 멘토를 함께 지원받을 수 있는 스마트 마이스터사업이 대표적이다.

선정기업이 대기업 퇴직인력 등 스마트공장 전문가를 약 3개월 동안 파견, 다양한 기술애로를 해결하고 제조 노하우도 전수 받을 수 있다.

스마트화 역량강화 사업도 병행해 지원 기업은 전문 컨설팅 기관이 수행하는 기업진단과 자문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마트공장 컨설팅으로 중소기업 선택의 폭은 그만큼 넓어진다.

업종별 공통 솔루션 구축을 통한 기업 간 연계성도 강화한다. 업종별 특화 스마트공장 구축에 나설 경우 도입기업과 대표기관이 컨소시엄을 통해 참여하도록 장려하기로 했다.

자금여력이 있는 대표기관이 협력사 구축비용도 함께 부담할 수 있다. 협력사는 스마트공장 도입 부담을 줄이고 대표기관은 협력사와 연계된 스마트공장 솔루션을 한 번에 구축할 수 있어 상생의 길이 열렸다.

컨소시엄 참여기업이 많으면 수요기업은 공동구매 방식으로 도입비용을 절감한다. 공급기업은 유사한 솔루션을 대량으로 판매해 상호 윈윈하는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우순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과장은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의 성공 여부는 지역 제조업체에 얼마나 확산시킬 수 있느냐가 관건인 만큼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시범공장을 도입해 기업이 편하게 벤치마킹하도록 하도록 돕고 있다”면서 “지자체, TP 등과 협력해 최초 보급이 고도화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고 지원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중소기업 제조혁신 추진체계>

중소기업 제조혁신 추진체계

<스마트제조혁신센터 주요기능 (구축단계별·기능별)>

스마트제조혁신센터 주요기능 (구축단계별·기능별)

<2019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 현황>

2019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 현황

<스마트공장 5단계 수준>

스마트공장 5단계 수준

대전=양승민기자 sm104y@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