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보호무역·日 수출규제에 전자업계 美 생산시설 확대 가능성

Photo Image
삼성전자 기흥 반도체 공장.<전자신문DB>

미국과 일본의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는 가운데 삼성·LG 등 국내 업체들이 미국 현지로 생산기반 이전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미국 현지생산이라는 '안전지대'에서 통상 규제를 회피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기업이 생산시설 일부를 추가적으로 미국으로 옮길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최근 글로벌 경제상황을 감안한 시나리오 가운데 하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방한에서 삼성전자의 반도체 미국 현지 생산라인 확대를 간접적으로 언급했다. 앞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가전 공장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이후에도 글로벌 제조업체를 미국 내로 끌어들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최근 일본이 반도체 핵심 소재에 대한 수출 규제에 나서면서 북미 생산라인 확대 가능성이 추가로 제기된다.

일본이 막무가내로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겠다고 통보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반도체 소재 조달에 빨간 불이 켜졌다. 이 때문에 미국이라는 안전지대를 확보해 공급망 관리(SCM) 안전성을 갖춰야 한다는 논리가 만들어졌다. 일본 정부의 비상식적 조치 행동에도 미국 현지 생산라인까지 견제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그 근거다.

현 상황에서 미국 외에 마땅한 대체국가를 찾기 어렵다. 일본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현지 생산라인에 투입하는 소재도 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중국과 미국 간 통상갈등을 고려하면 중국은 사실상 안전지대로서 대안이 되기는 어렵다.

이와 관련, 삼성전자 관계자는 “미국 이전과 관련해 명확하게 진행되는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미국과 일본의 보호무역 강화는 국내 기업체 전반에 안정적인 공급망관리(SCM)에 대한 경각심을 깨웠다. 자유무역에 기반한 각국의 협력체계는 언제든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거래선과 SCM의 다변화, 핵심기술의 국산화 요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문병기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글로벌 경제상황이 복잡하게 변화하는 가운데 생산시설 이전 여부도 여러 검토 대상 가운데 하나가 되고 있다”면서 “단순히 일본 수출 규제 이슈만으로 결정하는 것은 섣부를 수 있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영호기자 youngtig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