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신재생에너지 다크호스 '수소' 두둥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일 대안으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연말 산업통상자원부 업무보고에서 수소경제 활성화를 천명한 데 이어 1월에 수소경제활성화 로드맵을 내놓았다. 정부가 내놓을 3차 에너지기본계획안에도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수소경제 산업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수소차는 누적으로 지난해까지 2000대 생산에 그쳤지만, 2040년에는 620만대 생산을 목표로 했다. 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로 수출시장에서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충전소도 2040년까지 120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국회에 지어질 수소충전소가 규제 샌드박스 1호로 통과했듯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고 도심지에 소규로도 설치가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발전 분야에선 발전용 연료전지 15GW, 가정과 건물용 2.1GW 설비를 2040년까지 보급한다.

연료전지 발전은 전세계 누적발전용량 40%가 우리나라에 설치될 만큼 우리가 앞섰다. 생산설비도 40%가 한국에 있다.

전문가는 수소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불안정한 전력공급 간극을 메울 것으로 기대했다. 에너지저장도 가능하고 에너지생산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신재생에너지 한축을 담당할 전망이다. 반응속도도 빨라 원하는 시점에 맞춰 저장·발전을 관리할 수 있다. 반응물로 물 외에는 나오지 않아 청정에너지로서 기후변화 측면에서도 온실가스 저감이 기대된다.

양태현 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전지연구실장은 “태양광, 풍력 등은 ESS가 연결돼야 하지만 수소는 자체적으로도 에너지저장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연관 시장 규모도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양 실장은 “수소산업이 현재 165조원 규모지만 2050년이 되면 2500조원 이상 시장이 될 거라는 전망도 있다”고 전했다.

다만 수소가 미래 에너지원이란 점에서는 이견이 없지만 기술적 과제도 많다. 수소생산에 비용이 기존 화석연료 대비 비용이 많이 드는데다 시장 초기인 만큼 기초 기술을 보강해야 한다.

저장 운송 분야에선 고압기체·액체·액상·고체 등 저장방식 다양화가 효율화가 필요하다. 수요증가에 맞춘 운송용 튜브트레일러 개발과 파이프라인 활용도 풀어야 할 숙제다.

정부는 연내 국회와 함께 수소경제법을 재정해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차질 없이 만들 게획으로 3차 에기본에도 한 축을 담당할 전망이다.

이경민 산업정책(세종)전문 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