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상반기 상생형 지역 일자리 2~3곳 발굴

Photo Image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관계부처 장·차관과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 확산방안을 발표하고 있다.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정부가 '광주형 일자리'를 지방자치단체로 확산시키기 위해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을 상반기 내에 두세 곳 추가 발굴하고, 3월까지 관련 법·규정을 개정, 상생형 지역 일자리 확산을 지원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21일 서울 청사에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학도 중소기업부 차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상생형 일자리 지역 확산 방안'을 발표했다.

상생형 일자리는 광주형 일자리에 착안한 사업이다. 임금을 기존 완성차 업체 절반 수준으로 지급하는 대신 정부와 지자체가 복리·후생 비용 지원으로 낮은 임금을 보전하는 방식이다. 지난달 30일 광주시와 현대차 간 합의안이 의결되고 31일 협약식이 열리면서 사업이 시작됐다.

정부는 다른 지역에서도 광주형 일자리 같은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을 발굴·확산시킬 계획이다. 경제 성장 잠재력 저하, 주력 산업 경쟁력 약화, 신산업 발굴 지체, 노동 시장 이중 구조 등 일자리 여건의 구조적 어려움이 지속되자 정부가 내놓은 대책이다.

실제 자동차와 조선 제조업 취업자 수는 2016년 2만2000명이 줄어든 데 이어 매년 2만명 이상 감소세가 지속됐다. 임시직과 정규직 간 임금 격차도 크게 벌어졌다.

정부는 노·사·민·정 합의를 전제로 한 지역 일자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지자체가 지역 노·사·민·정 양보와 타협을 도출, 실정에 맞는 창의적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노·사·민·정이 각자 역할을 규정하고 이행을 보장하는 상생 협약을 체결해야 한다. 상생 협약을 체결하면 중앙과 지방 정부가 지역 특성에 맞게 패키지로 지원한다. 대상 업종은 유흥·사행 산업 등 일부를 제외한 제조업과 서비스업이다. 수도권은 제외했다.

유형은 임금협력형과 투자촉진형으로 나뉜다. 임금협력형은 '광주형 일자리'처럼 대규모 신규 투자 때 노·사가 적정 임금을 수용하면 정부가 주택 공급이나 어린이집 확대 등 근로자 복지를 지원한다. 기업에는 지방세 감면 도로 건설 등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투자촉진형은 고용·산업 위기 지역에 중소·중견기업 신속 투자를 지원하는 제도다. 근로자에게는 맞춤형 교육, 기업에는 법인세 감면과 부지 임대료 경감 및 설비투자 금융을 지원한다.

정부는 3월까지 지역상생형 일자리를 만드는 법안 발의와 행정 조치를 마친다는 방침이다. '국가균형발전 특별법'(균특법)에 정의 선정 절차·요건 등을 규정하고 3월 중 균특법 개정안을 발의하기로 했다. 세제·입지 지원 등 법 개정 사항은 균특법 개정과 연계하고, 법 개정 완료 시까지는 우선 현행제도 내에서 최대한 지원하기로 했다.

홍 부총리는 “지자체와 협업해 상반기 내에 지역 상생형 일자리 두세 곳을 발굴할 방침”이라면서 “실질적인 일자리 창출 돌파구가 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경민 산업정책(세종)전문 기자 kmle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