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소상공인 간편결제 제로페이 확산을 위해 전자상거래 결제가 가능한 '온라인 제로페이'를 만든다. 이달 안에 태스크포스(TF)를 꾸려서 온라인 거래용 제로페이 상용화를 준비한다. 11번가를 비롯해 이베이, KG이니시스 등 대형 사업자가 참여한다. 제로페이가 온·오프라인 통합 결제로 범용성을 넓혀 간다. <관련기사 11면>
중소벤처기업부는 2019년 제로페이 사업자로 참여한 기업과 '온라인 제로페이' TF를 구축하고 연내 상용화를 위한 규격 제정 및 시스템 마련에 착수한다. 오는 15일에는 온라인 제로페이 구축을 위한 첫 회의를 중기부 주재로 개최한다.
그동안 제로페이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온라인 결제가 가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인터넷, 모바일 간편 결제 수단으로 범용성을 넓혀야 제로페이가 시장에 안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사뿐만 아니라 대형 유통, 정보기술(IT), 핀테크 기업까지 온라인 제로페이 진영에 합류한다. 11번가와 이베이코리아, KT, KG이니시스, 페이민트, 카카오페이, 한국전자영수증, 코스콤, 한패스, 핀크, 이비카드(캐시비),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 티모넷, 하렉스인포텍(유비페이), KIS정보통신, KSNET 등도 참여한다. 인프라와 가맹점, 소비자를 모두 확보한 주요 사업자가 참여해 제로페이 이용자가 획기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짙다.
중기부 제로페이 사업 관계자는 “커머스와 모바일 기반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대형 기업과 온라인 제로페이 확산을 위한 세부 협의에 곧 착수할 계획”이라면서 “사업자 상당수가 온라인 제로페이 확산에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중기부는 오프라인에 이어 온라인 커머스 시장에서도 밴과 전자결제(PG) 수수료를 없애 소상공인 부담을 대폭 줄인다는 계획이다. 온라인 가맹점은 1~2%대 안팎의 결제 수수료를 내고 있다. 밴과 PG 리스를 통해 수수료를 걷어내고, 이 자금으로 강력한 소비자 혜택을 주면 상당수 간편결제 플랫폼보다 제로페이가 우위에 설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제로페이 사업에 참여한 기업 대표는 “시장에서는 오프라인보다 온라인과 모바일 제로페이 상용화를 기다려왔다”면서 “세부 운영과 규격, 시스템을 어떻게 운영할 지 이미 논의가 시작됐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기존 사업자가 보유한 시스템으로 제로페이를 연동하면 인프라 투자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다. 특히 운용기관인 금융결제원이 온라인 결제가 가능한 금융 공동 결제 플랫폼 뱅크페이를 보유해 이를 결제 수단으로 활용하면 이미 시장에 참여한 은행 등이 별도 시스템을 갖추지 않아도 된다. 다만 정부가 수수료 수익 상당수를 잃게 되는 밴사와 PG사 문제를 어떻게 풀어낼 지는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
길재식 금융산업 전문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