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소경제에 장밋빛 전망을 내놨지만 2040년까지 달려야 할 길은 멀고 험하다. 노무현 정부는 14년 전인 2005년 9월에 '친환경 수소경제 구현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산업통상자원부(옛 산업자원부) 주도 하에 내놓았다.
당시 미국, 캐나다, 유럽, 일본 등 각국이 화석연료 고갈에 대비해 수소연료전지를 중심으로 개발 경쟁을 펼쳤다. 우리 정부는 이에 맞서 2040년까지 마스터플랜을 제시한 것이다.
마스터플랜에는 2020년과 2040년 달성 목표를 각각 잡고 연구개발, 사업화, 인력양성, 기업지원 방안 등이 담겼다. 2020년에 수소차 등 수송 8%, 발전용 전력수요 7%, 가정용 전력수요 5%를 차지하는 것으로 계획을 짰다. 당시 계획대로면 수소연료전지차 195만대를 생산해야 한다. 발전용 연료전지 설비도 2GW, 가정용 연료전지설비 75만대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였다. 천연가스, 신재생에너지, 제조과정 부생가스, 석탄과 원자력을 활용해 수소를 제조하는 안도 포함됐다.
2020년을 한 해 앞뒀지만 당시 계획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수소차는 작년까지 누적 생산대수가 889대에 그친다. 올해 2000대 가량 생산목표인 만큼 거리가 있다. 연료전지설비는 1GW로 절반에 그친다. 이밖에 인프라 구축과 수소생산에서도 목표와 현실 간 괴리가 크다.
산업부 관계자는 “2005년 계획을 만들 당시만도 유가 상승과 기후협약을 대비해 수소경제활성화가 기대됐지만 이후 원유 추출 기술 발달로 인한 유가안정과 후속 정책 부재 등으로 추진력을 잃었다”고 평가했다.
우리나라가 수소생산에서 많은 노하우를 가졌지만 여전히 수소차나 수소발전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에는 기술이나 자원, 인프라가 많이 모자란 게 현실이다.
제철 등 제조 공정 등 각종 산업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부생수소는 약 160만톤 정도다. 이 중 수소차에 사용할 수 있는 잉여 부생수소량은 약 10만톤으로 추산된다. 수소연료전지로 운행되는 수소차 50만대가 연간 운행하는 정도다.
정부는 부족한 부생수소는 메가와트(㎿)급 단위 수전해 수소생산을 위한 실증 프로젝트를 올해부터 시작해 내년까지 마칠 계획이다. 아직 실용 실용화기술을 갖추지 못한 천연가스 액화기술은 현재 가스공사에서 실증테스트를 해 성공적일 경우 기술로드맵에 수정해 넣을 방침이다. 또 부생수소 수입과 기술 교류 부문에서 국제사회와도 협력해 수소공급에 차질이 없게 노력한다.
기술력이 뒤진 상업용 소형 연료전지 분야에서는 기술개발과 투자를 이어간다. 2040년까지 2.1 기가와트까지 용량을 늘리는 것이 목표다.
가정용으로 공급되는 소형 연료전지는 일본 에너팜처럼 보급을 실현해 2030년까지 가격을 500만원대로 낮춰 빠르게 일본을 따라잡을 계획이다.
에너지 분야 한 전문가는 “수소경제의 궁극적인 목적은 청정 에너지원을 활용해 국내에서 수소를 생산하고, 해외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는 것”이라면서 “이를 위해서는 수소 생산량 확대와 생산방식 다양화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경민 산업정책(세종)전문 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