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약품,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등 보건산업 분야에서 7년간 약 4000여개가 넘는 기업이 창업, 일자리 3만여개가 창출됐다.
11일 보건복지부 '보건산업 창업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창업한 뒤 생존한 기업은 4144개였다. 고용인원은 3만472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창업기업 가운데 절반이 넘는 2429개(58.6%)가 의료기기 분야였다. 연구개발업 55개(13.4%), 기능성화장품 399개(9.6%), 건강기능식품 391개(9.4%), 의약품 279개(6.7%), 보건의료정보 64개(1.5%) 순이었다.
창업 주체별로 개인창업이 94.8%(법인창업 3.1%)로 주를 이뤘다. 전체 창업기업 52.5%가 '벤처기업 인증'을 받았다.
2016년 12월 기준 고용인원은 3만472명이었는데 기능·생산 인력이 9669명(3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연구개발 인력 9082명(29.8%), 일반사무 4473명(14.7%), 경영·관리 3693명(12.1%) 등이 채용됐다.
창업기업 평균 종사자는 7.4명이었다. 2015년 12월 기준 산업 전체 창업기업 평균 종사자 수인 3.2명보다 2배 이상 많은 수치다. 기능성화장품 분야가 12.9명으로 가장 많았고 의약품 9.3명, 보건의료정보 9.1명, 건강기능식품 8.1명, 의료기기 6.4명, 연구개발업 5.9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창업기업의 평균 창업자금은 2억8000만원이었다.
이들 기업 2016년도 평균 매출액은 9억300만원이었다. 창업 5년차 기업이 14억3100만원으로 1년차 기업(1억9400만원)보다 7배 이상 매출액이 높았다. 분야별로는 기능성화장품이 26억47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의약품 15억2900만 원, 건강기능식품 14억1000만 원, 의료기기 6억3500만 원 등 순서로 나타났다.
매출 비중은 국내가 90.7%, 해외는 9.3%였다. 해외매출 대부분(57.8%)이 의료기기업종에서 발생했다.
연구개발로 지출한 금액은 2016년 기준 1억2900만원으로 매출액 대비 14.3% 수준이었다. 창업기업 71.0%는 연구개발 조직과 인력을 보유했다.
창업 시 가장 큰 애로사항은 '창업자금 확보'(82.9%)로 나타났고, 생계유지 문제(21.7%), 창업 관련 지식·경험 부족(17.4%) 등도 어려움으로 꼽혔다.
창업 시 필요한 지원 사업으로는 40.2% 기업이 '초기단계 금융지원'을 선호했다. 지원 사업에 참여하지 못한 이유로는 '인지도 부족'이 32.6%, '절차·구비서류 복잡'이 28.3% 등이었다.
임인택 복지부 보건산업국장은 “기술기반 보건산업 분야에서 '제2의 창업 붐'이 일어난다”면서 “연구개발 결과물이 혁신적 기업의 창업과 성장,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적 보건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윤형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wh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