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위' 헬스케어 발전전략 발표…빅데이터·AI로 헬스산업 선도

Photo Image
[사진=게티이미지]

4차 산업혁명 시대 헬스케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통합전송 관리기술 표준화가 시행된다. 정부 예산 2조8000억원이 투입돼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전주기 지원체계가 구축된다. 스마트 임상시험으로 신약 개발도 빨라진다.

보건복지부는 10일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9차 회의 심의를 거쳐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글로벌 정밀의료 시장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연 15.2%, 헬스케어 인공지능(AI) 시장은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연 52.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민간전문위원과 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합동으로 '헬스케어특별위원회'를 설치해 중점 추진 전략을 논의했다.

우선 정부는 300명 헬스케어 빅데이터를 생산·관리한다. 300명의 건강·의료·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해 헬스케어 빅데이터 활용 경험을 축적한다. 표준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 사업'을 추진한다. 새해에 일반인, 생활습관개선 대상자, 암생존자 각 100명 참여자를 모집해 데이터를 생산한다. 2020년 데이터 통합전송 관리기술 표준화, 2021년 연구·기술·서비스 개발에 활용한다.

신약개발에 AI를 활용해 기간과 비용을 줄인다. 2021년까지 'AI 신약개발 기반(플랫폼)'을 구축해 인공지능을 신약 후보물질 발굴, 전임상시험, 스마트 약물감시 등 개발 전과정에 활용한다.

신약개발 임상시험 센터별 각기 다른 관리시스템을 통일한다. 다기관 임상시험 네트워크 구축과 임상시험 기술 고도화, 안전성 기반을 강화한다. 임상시험센터별 자원 표준화와 공동활용, AI 등 4차 산업 기술을 활용한 임상시험설계·환자 모집 등을 지원하는 차세대 임상시험관리시스템(CTMS)을 2021년까지 개발한다. 참여자 데이터를 생산·취합하고 분석한 뒤 관련 기술과 서비스 개발까지 활용해 헬스케어 빅데이터 활용 경험을 축적한다.

빅데이터, AI, 3D프린팅 등 신개념 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2020~2029년 범부처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한다. 혁신 의료기술을 평가하는 별도 평가체계를 만들고 체외진단 신의료기술평가는 사후평가방식으로 전환한다. 2020년부터 2029년까지 2조8000억원을 투입해 빅데이터 AI 3D프린팅 등 신개념 의료기기개발을 위한 범부처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한다. AI·바이오·로봇 의료융합 기술개발사업에도 2022년까지 420억원을 투입한다.

신의료기술평가 제도를 개선해 혁신의료기술 잠재가치를 평가하는 별도의 평가체계를 만든다. 새해 1월부터 체외진단기기 신의료기술평가는 사후평가방식으로 전환한다.

헬스케어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지역 바이오·헬스 클러스터와 지방거점 병원을 연계한다. 병원·기업 간 공동연구 확산을 위한 개방형 실험실(Field Lab)을 만든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AI·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과 함께 기존에 없던 기술, 새로운 서비스 시장 등 헬스케어 산업의 지각이 변동한다”면서 “헬스케어 발전전략으로 국민에게 나은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장윤형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why@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