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육성 근거 마련을 위해 산업분류코드 제정이 추진된다. 건강관리에 필요한 의료정보 활용, 서비스 수가 마련 등 규제개선 작업도 병행한다. 디지털 헬스케어가 국가 재정 건전성, 국민 보건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산업계 움직임이 활발하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디지털헬스협회, 한국스마트헬스케어협회는 내년 규제 개선, 대국민 홍보, 산업 육성 근거 마련에 총력을 기울인다. 산업이 주목받으면서 업계가 협회를 중심으로 뭉쳐 공동 목소리를 강화한다.
올해 초 발족한 한국디지털헬스협회는 내년 중 정부에 디지털 헬스케어를 표준산업분류코드를 제안한다. 연구용역을 발주, 필요성과 육성방안을 함께 전달한다. 코드 확보 시 업계 숙원인 산업육성 근거가 마련된다.
법제도 개선도 추진한다. 의사-환자 간 원격진료는 원천적으로 금지됐지만, 원격 모니터링은 가능성이 있다. 정부에 수가체계 확립을 제안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확산을 유도한다. 아울러 디지털 헬스케어를 산업적 측면에서만 바라볼 게 아니라 국민 건강과 국가 의료비 절감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는 대국민 홍보도 강화한다.
송승재 한국디지털헬스협회장은 “산업 통계와 육성법 제정 등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산업분류통계를 내년에 정부에 제안할 예정”이라면서 “원격 모니터링 역시 수가화하거나 비급여 항목으로 지정해 서비스 확산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유헬스협회도 8년 만에 스마트헬스케어협회로 명칭을 변경, 디지털 헬스케어 전 영역에 발전을 도모한다. 과거 원격의료 등 특정 이슈에 집중했지만,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서비스 전 영역으로 확대했다. 중증환자 건강관리 서비스,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해외 수출 지원 전략을 수립 중이다. 정부에 의료정보 활용을 위한 법제도 개선안도 제출한 상태다. 풍부한 병원 네트워크를 활용해 임상, 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스마트헬스케어협회 관계자는 “전통적으로 의료기관 네트워크가 강점인데다 법제도 전문성도 강한 만큼 디지털 헬스케어 전 영역에 발전적 아이디어를 제안할 예정”이라면서 “내년에는 서비스 발굴과 수출 상담 지원 등에 주력한다”고 말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과거 원격의료 서비스에 국한해 사회적 공감대 확산과 산업 생태계 조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최근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등 스마트 기기 발전과 의료기관 간 협업으로 서비스가 다각화된다. 특히 고령화, 만성질환자 증가 등으로 일상생활에서 건강관리가 중요해지면서 디지털 헬스케어 필요성이 강조된다.
산업적으로 주목 받으면서 투자금도 몰린다. 올해 헬스커넥트는 디지털 헬스케어 업계 최대 규모인 175억원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최근 네오펙트는 코스닥에 상장되면서 주목 받았다. 협·단체 활동이 활발해진 점 역시 사회·산업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업 육성 기반 마련 적기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실제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도 협·단체 가입으로 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디지털헬스산업협회는 80여개 기업·기관을 회원사로 확보했고, 스마트헬스케어협회 역시 현재 35개에서 내년 10개 이상 신규 회원을 유치할 것으로 기대한다.
송 회장은 “디지털헬스협회는 산업통상자원부 소관이며 산업체가 주로 참여한 반면 스마트헬스케어협회는 보건복지부 소관, 병원 중심 협회여서 협업 시 시너지를 기대한다”면서 “세계적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필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업계 요구사항을 파악해 정부에 적극 제안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