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대민서비스에 'AI' 접목..."국가가 찾아 가는 서비스 구현"

Photo Image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주최하고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가 주관한 2018 인공지능 국제 콘퍼런스가 29일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렸다.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싱가포르는 대민서비스 업무에 인공지능(AI) 시스템을 적용해 시민이 필요에 따라 정부를 찾는 것이 아닌 정부가 먼저 시민 필요를 찾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hoto Image

챈처우호 싱가포르 최고디지털기술책임자(CTO)는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 '2018 인공지능 국제콘퍼런스'에서 그룹 인터뷰를 갖고 다양한 데이터 수집을 통해 국민이 진정 무엇을 원하는지 알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싱가포르는 이달 1일부로 국가디지털기술책임자라는 직함을 새롭게 만들었다. 챈처우호 CTO는 싱가포르 중앙정보기술 시스템과 인프라를 감독하고 시민과 기업을 위한 혁신 공공서비스 개발을 담당하는 중책을 맡았다.

싱가포르가 단순히 직책을 만들고 대민서비스에 AI를 적용한 것은 아니다. 이미 4년 전부터 디지털 기술을 정부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준비를 해왔다.

챈처우호 CTO는 “AI는 디지털정부가 갖고 있는 수많은 요소 가운데 하나로 일종의 수단”이라면서 “디지털 정부의 가장 중요한 기반은 무엇보다 데이터로 이를 어떻게 수집하고 관리하는지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싱가포르 정부는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거듭했다. △정부 각 부처 분산된 데이터 통합 △분산 데이터 간 무결성 입증 △데이터 발견 후 이를 활용할 인프라 개발까지 3단계를 거쳐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데이터를 적용했다. 이를 바탕으로 찾아가는 대민서비스를 기획했다.

그는 “AI 적용 대민서비스 이전까지 산모는 출산 전 병원, 행정기관 등을 관공서나 정부부처를 직접 찾아야 했다”면서 “이제는 여러 개 정부부처를 직접 접촉하는 게 아니라 미리 출산 예정일을 알고 정부가 서비스를 한곳에서 일괄적으로 제공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AI가 불러올 일자리 감소, AI윤리문제에 대해서는 부정론보다는 긍정론을 앞세웠다. 그는 “일자리가 줄어든다기보다 다른 종류의 일자리가 생겨날 것”이라면서 “싱가포르도 공무원 역할이나 활동이 변하기 때문에 AI역량을 높이기 위해 인력 재훈련 등 다양한 교육을 실시한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부터 AI혁신에 따라 기계가 인간을 능가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는 예견은 있었지만 단순히 5년 10년 안에 이뤄지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기술 성숙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며 우리도 AI윤리가이드라인을 연구·조사 중”이라고 설명했다.

챈처우호 CTO는 이날 행사에서 '공공분야를 위한 AI'를 주제로 강연했다. 2018 인공지능 국제콘퍼런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공동으로 개최했다. 미국, 캐나다, 중국 등 AI 분야를 선도하는 7개 국가, 18명 인공지능 전문가가 분야별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신경과학 분야 세계적 권위자인 테리 세즈노스키 교수와 AI 하드웨어 기술 최고전문가 윌리엄 달리 엔비디아 부사장이 기조연설했다. 과기정통부가 지원하는 '지능정보 플래그쉽 사업'과 '지능정보서비스 확산사업' 2018 성과보고회도 함께 개최됐다. 국내 AI 기업 전시부스와 연구개발(R&D) 과제별 포스트 세션 등이 함께 운영돼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했다.


정영일기자 jung01@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