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미래모임]스마트팩토리 수요·공급 상생 생태계 구축해야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스마트팩토리 보급 사업을 바라보는 업계 관점은 다양하지만 국내 산업 고도화를 위한 핵심 방편이라는데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정부 보급 사업을 자양분으로 수요·공급기업이 신뢰, 전문성 기반 생태계를 구축하고 장기 안목의 인력 양성 방안 수립 등을 주문했다.

최세호 포스코 팀장은 “대기업 구축 사례를 중소기업에 전파하면 효과가 좋을 것이라는 얘기를 많이 하지만 현실적으로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서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 등을 감안하면 중소기업이 대기업과 같은 형태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최 팀장은 “중소기업 보급 건수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중소기업에게 무엇이 진짜 필요한가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스마트팩토리를 보급한다면 시간이 흐를수록 사업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면서 중소기업 맞춤형 보급 사업을 주문했다.

장석인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대량생산 기업이 명확한 목표를 갖고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어 한다”면서 “개별 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하것 보다산업단지 중심으로 유사업종을 묶어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제언했다.

김경재 한국계면활성제접착제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수요기업 입장에서는 스마트팩토리 구축 과정에서 당초 계획대로 공정이 변화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어렵다”면서 “공급 기업이 중소기업이 판단을 도울 수 있는 정보를 수시로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업종별 스마트팩토리 표준을 조성하자는 제안도 나왔다. 양찬회 중소기업중앙회 단장은 “제조업 협동조합은 작은 식품 제조기업부터 대형 제조업이 모두 참여하고 있다”면서 “섬유, 화학 식품 등 업종별 스마트팩토리 구축 사례를 공유하고 전문성을 키운다면 업종별 표준 수립도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유성준 세종대 교수는 “중소기업을 수차례 만나도 결국 얘기하는 것은 인력 문제”라면서 “SW코딩, 아키텍쳐 교육은 정부 주도로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분야 교육은 아직 수준이 미치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유 교수는 “이런 분야에서 전문 인력이 나오려면 적어도 10년 이상 걸릴 수 밖에 없는 현실에서 제조업장 인력 재교육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단기적으로는 산학협력으로 인력을 공급받으면서 산업계 전문인력이 일정 수준에 올라서길 기다리는 것이 현실적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배희숙 이나루티앤티 대표는 “준비되지 않은 스마트팩토리 공급 기업으로 인해 수요기업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면서 “정부가 전문 분야가 명확한 공급 기업을 선별해 사업에 참여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 대표는 또 “과거 지원 방식에서 벗어나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오픈 소스 기반의 솔루션을 도입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는 환경을 조성해 주길 바란다”면서 “중소기업 중앙회를 중심으로 의견, 데이터가 수렴되고 이를 활용하는 구조가 만들어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건수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은 “스마트팩토리 2만개 확산 목표로 보급사업을 추진하면서 공급기업 경쟁력도 같이 키워 나갈 방침”이라면서 “수요·공급이 상생하는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와 협력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최호 산업정책부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