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은 보험금을 소비자에게 돌려주기 위한 '내 보험 찾아줌' 서비스를 놓고 보험업계와 플랫폼 사업자 간 갈등이 불거졌다.
보험사 플랫폼에서 스크래핑 기술로 정보를 취득하는 토치, 굿리치 등의 서비스에 보험업계가 제동을 걸고 나섰기 때문이다. 각자 서비스 의도와 소비자 선택권이라는 주장이 맞서며 팽팽한 줄다리기를 이어가고 있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생명보험협회는 최근 토스, 굿리치 등 플랫폼 사업자들이 스크래핑 기술을 통해 서비스 중인 내 보험 찾아줌 서비스를 자제해줄 것을 요청했다.
소비자의 숨은 보험금을 돌려주기 위해 선보인 내 보험 찾아줌 서비스가 플랫폼 사업자 마케팅에 활용돼 의도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해당 서비스를 지속하기 위해선 스크래핑을 통한 플랫폼 사용이 아닌 링크를 활용하도록 요구했다.
생보협회 관계자는 “소비자의 숨은 보험금을 찾기 위해 금융당국과 보험업계가 선보인 내 보험 찾아줌 서비스가 플랫폼 사업자의 마케팅에 활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며 “본래 서비스 의도에 부합하도록 플랫폼 사업자에게 링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당부하고, 광고도 중지해달라고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내 보험 찾아줌 서비스는 소비자가 가입한 보험의 숨은 보험금을 찾아주는 서비스다. 지난해 12월 금융당국과 보험업계가 함께 선보였다. 해당 사이트에서 보험 가입 내역과 숨은 보험금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해당 서비스는 올해 6월 말까지 숨은 보험금 2조1426억원을 주인에게 돌려주는 등의 성과도 있었다.
이런 생보업계의 조치에 플랫폼 사업자는 반기를 들고 있다. 스크래핑 기술이 법적으로 불법도 아닌 상황에 중단을 요구하는 생보협회의 요청이 소비자 선택권을 침해한다는 주장이다.
협회 제안을 일부 수용해 광고는 내렸지만, 서비스 중단은 법적 근거를 제시했을 때만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굿리치 관계자는 “숨은 보험금 관련 광고를 내린 것은 협회 요청에 일부 동의하고, 함께 논의해보자는 취지일뿐 서비스 중단은 고려하지 않는다”며 “금융당국이 스크래핑이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적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최근 내놓았기 때문에 중단할 이유도 명확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하고 숨은 보험금을 찾아주는 정책에도 부응한다”고 강조했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