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산업단지 활성화는 전국 지자체 공통 현안이다. 노후산단이 늘어나면서 지역산업 경쟁력은 약화되고, 우수인력과 청년 이탈, 생산인력 고령화 등 각종 문제를 양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산업단지공단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조성 20년이 넘은 노후 국가〃일반산업단지는 428개다. 전체 산업단지 1189개 36%에 달한다.
이 같은 노후산단은 조성 당시 규모가 최근 등장한 특화·첨단·도심 산단보다 훨씬 크다. 이로 인해 노후산단 비중은 36%지만 '노후산단 입주기업'은 7만8942개로 전체 산단 입주기업 9만6260개의 82%를 차지하고 있다. '노후산단 근로자수'도 172만명으로 전체 산단 근로자 216만6000명 대비 79%에 이른다.
지자체 노후산단 활성화는 지역산업 침체 극복, 나아가 지역산업 고도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와 직결된다. 지자체 노후산단 활성화 초점은 정주여건 개선에 맞춰져 있다.
산단 내 문화, 복지, 편익, 교육 시설 등을 확충해 일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기업과 사람을 다시 끌어오는 것이다.
광역시는 노후산단을 규모는 축소하는 대신 도심형 첨단산업단지로 바꾸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부산시의 '신평장림산단 고도화 사업'이 대표 사례다.
신평장림산단은 부산 첫 산단이자 대표 노후산단이다. 시는 이 산단을 ICT융복합 도심형 산업단지로 바꾸고 있다. 국비와 시비를 포함해 2300억원을 투입, 2026년까지 공간 재편과 업종 고도화, 근로 주거환경 개선 등 21개 사업을 추진한다.
대전시는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협약을 맺고 1970년대에 조성된 노후산단인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을 시작했다. LH에 맡겨 재건축 공사와 분양, 창업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공공지식산업센터 등 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시는 행정지원, 기반시설 구축 재정 지원, 준공 후 공공시설 관리를 맡는 방식이다.
울산시도 지난해 민간 참여 노후산단 구조고도화사업에 착수했다. 노후산단내 공장용지를 복합구역으로 변경 허용해 산업구조 고도화시설, 첨단 업무시설, 주거·편의·문화·복지시설 등을 유치하는 것이 핵심이다.
광역도는 지리적 특성상 노후산단 활성화사업을 지역 전체 산업단지 재편과 연계해 지역산업 육성 효율화를 도모하고 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205개 산업단지를 보유한 경남도는 올 초 지방산단 119개와 입주기업 3000여개를 대상으로 노후화와 환경성, 안전성 등 광범위한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노후산단 구조 조정과 활성화를 경남도 역점사업으로 추진한다.
전남도는 지난 2016년 대표 노후산단이 순천일반산단 경쟁력 강화사업을 시작했다. 순천산단은 조성된지 30년이 넘어 생태도시 순천 발전의 저해 요인으로 지목됐다.
도는 산업부 지원 아래 오는 2020년까지 395억원을 투입, 신규 기업지원 시설 건립, 노후도로 정비, 공영주차장 설치, 복합지식산업센터 구축 등 문화·복지·편익 시설 확충해 산업과 문화를 융합한 친환경 첨단산단을 만든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