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구선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바이오헬스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필요"

Photo Image
서정선 한국바이오협회 회장,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김민석 민주연구원 원장, 이명수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노웅래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위원장,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임대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공구 한양대학교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원장, 이재화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

“바이오헬스산업 발전을 위한 혁신 생태계 조성이 시급합니다.”

박구선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은 “바이오헬스산업은 고부가가치 사업이자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분야”라면서 “그러나 국내 바이오헬스산업은 '2%의 덫'에 빠져 있다”고 밝혔다. 박 이사장의 지적은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지원 기관의 장으로 현장에서 바라보고 느낀 점이다.

박 이사장은 13일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서울바이오이코노미포럼을 진행하면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바이오헬스산업 질적 성장은 어렵다고 진단했다.

바이오헬스산업은 지난해 기준 1980조 7040억 원에 이른다. 올해는 이보다 4.82% 증가한 2080조 8650억 원에 달하고, 2025년에는 3010조 원에 오를 전망이다.

반면, 국내 규모는 세계시장에 비해 턱없이 작은 실정이다. 바이오경제연구센터가 지난해 공개한 한국바이오헬스산업의 현황 및 이슈에 따르면 국내 제약산업 19조 3000억 원, 바이오산업 5조 6000억 원, 의료기기산업 5조 2000억 원으로 추정된다.

세계시장 중 1.8%에서 1.4%에 불과한 수준.

박 이사장은 “세계 제약시장 규모는 반도체에 약 3배에 달하고, 블록버스터 신약의 경제 가치는 어마어마하다. 휴미라를 예로 들면 2015년 매출액 기준으로 141억 달러를 올리며 아반떼 자동차 82만대를 판 것보다 더 컸다”고 강조했다.

바이오헬스산업을 미래 먹거리로서 더욱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정부가 씨를 뿌려 떡잎을 티우는 과정, 즉 기업 창업 과정까지는 열심히 지원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정작 기업들 데스밸리 통과를 위한 케어 시스템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오송, 대구와 같은 첨단복합단지를 만들었지만, 기업들 연구가 사업화를 통한 시장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쓴소리도 냈다.

박 이사장은 바이오헬스 기업들이 사업화 단계까지 오르려면 혁신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보스턴 랩 센트럴처럼 통합형 창업지원, 규제의 명확화, 자율과 책임 보장, 충분한 투자자본, 전문인력양성, 정주 환경 조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거듭했다.

기초연구부터 창업·보육, 기술실증, 임상·인허가, 사업화 전 과정에서 단계별 단절된 방식이 아닌 연계 지원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또 국내 10대 바이오제약사 R&D 연구비용이 글로벌 10대 바이오제약사에 견줘 80분의 1에 그쳐있다며 과감한 투자의 필요성도 촉구했다.

박 이사장은 “IT분야 발전에는 정보통신진흥기금이 있었지만 바이오 분야는 현재 건강증진기금의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뿐이다. 턱없이 부족하다”고 성토했다.

인력 부족 문제 해소도 시급한 현안으로 꼽았다.

박 이사장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2017년 발표한 산업기술 수급실태 조사결과, 12대 중력산업 중 바이오헬스는 소프트웨어, 화학 분야 못지 않은 부족률을 보였다”면서 “인재유입은 기업을 키우고, 돈을 벌고, 생활 기반을 만드는 데 중요한 요건”이라고 강조했다.


충청=강우성기자 kws9240@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