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산업 발전을 위한 혁신 생태계 조성이 시급합니다.”
박구선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은 “바이오헬스산업은 고부가가치 사업이자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분야”라면서 “그러나 국내 바이오헬스산업은 '2%의 덫'에 빠져 있다”고 밝혔다. 박 이사장의 지적은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지원 기관의 장으로 현장에서 바라보고 느낀 점이다.
박 이사장은 13일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서울바이오이코노미포럼을 진행하면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바이오헬스산업 질적 성장은 어렵다고 진단했다.
바이오헬스산업은 지난해 기준 1980조 7040억 원에 이른다. 올해는 이보다 4.82% 증가한 2080조 8650억 원에 달하고, 2025년에는 3010조 원에 오를 전망이다.
반면, 국내 규모는 세계시장에 비해 턱없이 작은 실정이다. 바이오경제연구센터가 지난해 공개한 한국바이오헬스산업의 현황 및 이슈에 따르면 국내 제약산업 19조 3000억 원, 바이오산업 5조 6000억 원, 의료기기산업 5조 2000억 원으로 추정된다.
세계시장 중 1.8%에서 1.4%에 불과한 수준.
박 이사장은 “세계 제약시장 규모는 반도체에 약 3배에 달하고, 블록버스터 신약의 경제 가치는 어마어마하다. 휴미라를 예로 들면 2015년 매출액 기준으로 141억 달러를 올리며 아반떼 자동차 82만대를 판 것보다 더 컸다”고 강조했다.
바이오헬스산업을 미래 먹거리로서 더욱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정부가 씨를 뿌려 떡잎을 티우는 과정, 즉 기업 창업 과정까지는 열심히 지원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정작 기업들 데스밸리 통과를 위한 케어 시스템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오송, 대구와 같은 첨단복합단지를 만들었지만, 기업들 연구가 사업화를 통한 시장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쓴소리도 냈다.
박 이사장은 바이오헬스 기업들이 사업화 단계까지 오르려면 혁신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보스턴 랩 센트럴처럼 통합형 창업지원, 규제의 명확화, 자율과 책임 보장, 충분한 투자자본, 전문인력양성, 정주 환경 조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거듭했다.
기초연구부터 창업·보육, 기술실증, 임상·인허가, 사업화 전 과정에서 단계별 단절된 방식이 아닌 연계 지원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또 국내 10대 바이오제약사 R&D 연구비용이 글로벌 10대 바이오제약사에 견줘 80분의 1에 그쳐있다며 과감한 투자의 필요성도 촉구했다.
박 이사장은 “IT분야 발전에는 정보통신진흥기금이 있었지만 바이오 분야는 현재 건강증진기금의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뿐이다. 턱없이 부족하다”고 성토했다.
인력 부족 문제 해소도 시급한 현안으로 꼽았다.
박 이사장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2017년 발표한 산업기술 수급실태 조사결과, 12대 중력산업 중 바이오헬스는 소프트웨어, 화학 분야 못지 않은 부족률을 보였다”면서 “인재유입은 기업을 키우고, 돈을 벌고, 생활 기반을 만드는 데 중요한 요건”이라고 강조했다.
충청=강우성기자 kws9240@etnews.com